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장우 시장 "청년주택 공사 중단은 전임 시장 당시 발주 몰아줘 발생"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확대 간부회의서 "조기 해결 안되면 참여업체 영구적 사업 입찰 제한"

이장우 시장 "청년주택 공사 중단은 전임 시장 당시 발주 몰아줘 발생" 이장우 대전시장이 6일 확대 간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대전시
AD

이장우 대전시장이 청년주택 공사 중단 사태에 대해 강도 높게 질타했다.


이 시장은 6일 오전 확대 간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청년주택 ‘신탄진 다가온’이 원천사의 대금 미지급으로 공사가 중단된 데 대해 “전임 시장 당시 대전도시공사에서 청년주택 문제 해결한다고 일부 사업자들에게 대규모로 발주를 몰아줘 발생한 현상”이라며 “이 문제가 조기 해결되지 않으면 참여업체 모두 영구적으로 대전시 사업 입찰을 제한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컨소시엄을 통해 사업에 참여했으면 전체가 책임을 지고 마무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어려운 건설 현장을 감안해 인건비 및 재료비 상승분 등 일부를 배상해 준 것도 있는데 그걸 이용하고 요청하는 업체들은 부도덕한 기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무책임한 기업은 더 이상 발붙일 수 없도록 하고 능력을 넘어선 무리한 수주와 몰아주기 발주는 청산돼야 한다”며 “철저한 관리 감독으로 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이 시장은 산하기관장 및 간부들을 향해 공직자로서의 소명 의식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산하기관의 공직 기강이 상당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조직이 이기주의로 변하고, 기관장이 조직을 제대로 장악하지 못해 간부들의 일탈이 일어나는 건 기관장이 조직 지휘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소명 의식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시민 혈세로 운영하는 시 조직이 일부 인사들 때문에 혁신하지 않고 느슨하게 운영된다는 얘기가 나오면 열심히 일하는 공직자들에게 부끄럽지 않냐”며 “인원을 늘려 조직을 확장하는 게 소명 의식이 아니고, 조직을 혁신하고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인사 관리하는 것이 여러분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 추진 방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조직 통폐합을 포함한 과감한 개혁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박종명 기자 cmys041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