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 저가 공세에…"매출 줄었다" 광주 제조업 비상

시계아이콘00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로 광주지역 제조업체가 휘청거리고 있다.


중국 저가 공세에…"매출 줄었다" 광주 제조업 비상
AD

광주상공회의소는 6일 광주광역시 소재 15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2024년 중국 저가·물량 공세 관련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62.5%가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로 인해 ‘실제 경영실적에 영향을 받았거나 피해를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37.5%는 ‘영향이 적거나 없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현재 겪거나 앞으로 우려되는 피해로는 ‘판매단가 하락 압박’이 62.1%로 가장 두드러졌다. 뒤이어 ‘내수거래 감소(46.3%)’, ‘중국 외 해외판매 부진(30.5%)’, ‘대중국 수출 감소(13.7%)’, ‘실적 부진에 따른 사업축소 중단(12.6%)’ 등 순서로 많았다.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국내 산업 보호조치 강구(38.2%)’, ‘연구개발(R&D) 지원 확대(32.9%)’, ‘신규시장 개척 지원(32.2%)’, ‘무역금융 지원 확대(12.5%)’, ‘FTA 관세 혜택 활용 지원(11.2%)’ 등이 언급됐다.


중국은 기술·품질 면에서도 위협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자사의 기술력과 품질경쟁력이 중국 경쟁기업과 비교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7.8%가 ‘이미 중국기업에 추월당했거나 격차가 축소됐다’고 답했다. ‘계속 우위에 있다’는 응답은 32.2%를 차지했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내수 부진과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와중에 중국 제품들이 가격은 물론 품질에서까지 경쟁우위를 지니게 되면서 지역 제조업체들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지역 기업들이 중국의 공세에 맞서 대응할 수 있도록 설비투자 지원 및 보조금 확대 등 다각적 제도 지원이 필요하며, 기업들 또한 기술 혁신과 품질 고급화, 전문인력 확보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박진형 기자 bless4y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