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15∼64세 생산인구 감소세 이어져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내국인 감소세는 이어졌지만, 외국인은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를 깨고 3년 만에 증가 전환한 것이다.
총인구 증가세는 외국인이 견인했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3000명(10.4%) 늘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2000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4만7000명·12.8%), 중국(22만1000명·11.4%) 등 순이었다. 중국과 베트남 국적만 100만명(51.7%)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입국자 증가, 고용허가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반면 내국인 수는 2021년 이후 3년째 내리막길이다. 2022년 4994만명을 기록하며 4년 만에 4000만명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4983만9000명으로 10만명 더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유소년·생산연령인구는 줄고 고령인구는 늘어나는 등 고령화 현상이 뚜렷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54만6000명(70.6%)으로 전년보다 14만명 줄었다. 0∼14세 유소년 인구도 24만1000명 줄어든 56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6만2000명 늘어난 960만9000명을 기록, '1000만명 선'에 한 발 더 다가섰다.
고령화 영향으로 중위 연령은 전년보다 0.6세 상승한 45.7세였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71.0명으로 2018년(113.9)보다 57.1명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5.4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었고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인 노년 부양비는 26.3명으로 1.4명 늘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총인구는 2622만6000명으로 전체의 50.7%를 차지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이중 일반 가구는 2207만3000가구(97.1%)였고 집단·외국인 가구는 65만5000가구(2.9%)였다.
일반 가구 중 친족 가구가 1369만9000가구(62.1%)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35.5%), 비친족 가구는 54만5000가구(2.5%)를 차지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친족가구(-5만8000가구)는 감소한 반면 1인 가구(32만7000가구), 비친족가구(3만1000가구)는 증가세가 뚜렷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 비중이 35.5%로 가장 높았고 2인 가구(28.8%), 3인 가구(19.0%), 4인 가구(13.3%) 등 순이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