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전문의 배출 없이 전문의 중심병원 불가"
수련을 이어가는 흉부외과 전공의가 전국에서 단 12명만 남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는 29일 전공의 수련 현황을 공개하며 "현재 미래가 사라지는 초응급 상황이므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학회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흉부외과 전공의 사직 현황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흉부외과 전공의 107명 중 75명이 사직 처리됐고, 20명은 보류 상태로 사직 처리를 기다리는 중이다. 복귀해 근무 중인 전공의는 1년 차 3명, 2년 차 2명, 3년 차 1명, 4년 차 6명 등 12명이다.
내년에 배출할 수 있는 신규 흉부외과 전문의는 최대 6명이며, 내년도에는 전국의 전공의 수가 한자리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대전·충남에 5명, 서울과 경북·대구에 각각 2명이다. 경기·인천, 경남·부산·울산, 전남·광주 등 세 지역에선 각각 1명이 남았다. 강원·충북·전북·제주에는 한명도 없다.
학회는 "신규 전문의 배출과 이를 통한 지역의료 활성화는 이미 붕괴했고, 지역의 권역 심혈관센터나 응급의료센터도 작동할 수 없게 됐다"며 "향후 몇 년간 전공의 사직의 파장은 매우 클 것"이라고 했다.
이어 "수술 등 진료가 당분간은 유지될 수 있으나 신입 전문의 투입 불가로 그 지속시간은 길지 않을 것"이라며 "전공의 12명으로는 연간 2만건이 넘는 심장 수술과 폐암 수술을 완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신규 전문의 배출을 위해서라도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학회는 "신입 전문의 배출 없이 전문의 중심병원은 불가능하다"며 "전공의들이 다시 꿈을 꾸고 환자 옆에 있을 수 있는 여건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희생은 미래의 심장병·폐암 환자들의 몫이 된다"며 "이제 상황을 방치하는 것은 죄이고, 시간이 없으므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