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한리필집서 "남은 고기 싸가겠다"…누리꾼 갑론을박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무한리필 샤부샤부집서 생고기 포장 요청
점주 거부 "탈 나면 식당 책임이라 안 돼"
누리꾼 갑론을박 "이 날씨에" vs "뭐가 문제"

무한리필 식당에서 남은 생고기를 포장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해당 사연에 누리꾼들은 "이 날씨에 웬 포장이냐", "손님 요구라면 들어주는 게 맞다" 등의 의견을 내세우며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무한리필집서 "남은 고기 싸가겠다"…누리꾼 갑론을박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는 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AD

지난 1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식당에서 남은 음식 포장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인천에 있는 한 샤부샤부 집을 찾았다는 작성자 A씨는 "인당 고기가 140g이 제공되는 샤부샤부 집을 초등학생 2학년 아이를 데리고 방문했다"고 운을 뗐다.


A씨는 "인당 18000원~25000원 사이의 가격을 지불하는 곳이었으며, 고기 종류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받았다. 저희 애는 고기를 좋아하지 않아 식사를 마친 뒤 고기 1인분 정도가 남았다"며 "남은 고기를 포장해달라고 요청하니, 식당 음식을 외부로 반출 시 탈이 났을 경우 식당 책임이라 남은 고기를 포장해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A씨는 "고기는 이미 값을 지불한 상황이고, 초등학생이 먹지 못해 남은 부분 포장을 재차 요구했으나 '원칙이라 안 된다'는 말만 반복했다. 이해되지 않는다"라며 "'다 드시고 가셨어야 한다'는 식으로 말하길래 '못 먹은 저희가 잘못했다고 생각하시는 거냐' 물으니 본인의 의향을 얘기한 거라 하시며 의향의 뜻을 인터넷에 찾아보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른 분들은 이럴 경우 남은 포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냐"며 의견을 물었다. 현재 해당 글은 삭제된 상태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진상이다", "생고기는 들고 가는 동안에도 상할 수 있는데 무리한 부탁을 한 것", "저건 사장님 얘기도 들어봐야 한다. 보통 손님들에게 저렇게 날카롭게 답변하지 않을 것", "탈 나면 가게 책임이라 안 해준다는데 왈가왈부할 게 있냐", "업자 기준으로 리스크가 너무 큰데 굳이 해달라고 해야 했나", "생고기는 탈 나기 쉽다", "이 날씨에 생고기 포장을 한다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몇몇 누리꾼들은 "보통 포장 요구하면 해 줄 텐데 이상하다", "비용을 지불했으면 당연히 포장해주는 것이 맞다", "사장님이 장사할 줄 모르시네", "남은 음식 포장해달라는 게 뭐가 문제냐", "손님 요구하면 무조건 들어주는 게 맞다"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식중독 없이 여름 나는 법
1. 식재료는 쌀, 통조림 등 냉장이 필요 없는 제품을 구입한다.
- 과일, 채소, 햄, 요구르트 등 냉장 가공식품도 괜찮다.
- 육류, 어패류는 가급적 구매하지 않는다.
2. 신선과일 및 채소는 냉장 제품을 구매한다.
3. 과일·채소류를 육류·수산물과 함께 구입 시 분리하여 담는다.
4. 수산물 구입시 신선한 것을 구입한다.
- 몸통이 탄력이 있는 것을 고른다.
- 눈이 또렷한 것을 고른다.
- 윤기가 나고 비늘이 부착된 것을 고른다.
5. 음식물 보관에 유의한다.
- 식재료를 햇볕이 직접 닿는 곳이나 자동차 트렁크 안에 보관하지 않는다.
- 아이스박스, 아이스팩 등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운반한다.
6. 음식물 조리 시에도 각별한 주의를 다한다.
- 바비큐는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 조리한다. (85도 이상, 1분 넘게)
- 생고기 조리에 사용한 젓가락 등을 익힌 음식을 집거나 섭취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민물 어패류는 기생충의 중간 숙주이므로 섭취를 자제한다.
- 어육류 전용 도마와 칼을 따로 두고 사용한다.
- 식사 전 손을 깨끗이 씻거나 물티슈로 닦는다.
- 조리 후 실온에서 보관한 식품은 2시간 이내에 섭취한다.
- 마실 물은 미리 가정에서 끓여서 가져간다.
- 야생 버섯, 설익은 과일, 야생 식물 등을 함부로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않는다.
<자료 : 분당서울대병원>



고기정 인턴 rhrlwjd031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