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여름철 지하철 이용법 공개
여름철 지하철 객실 기온은 좌석에 따라 제각각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을 가장 시원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20일 공사는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라고 밝혔다. 반면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승객은 체감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자리를 옮기면 쾌적한 지하철 이용이 가능하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는 2~4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승객이 많을 경우엔 최대 6도까지 차이 날 수 있다는 게 공사의 설명이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으로 자리를 옮기면 된다.
약냉방칸은 1, 3, 4호선에서는 4, 7번 칸이다. 5, 6, 7호선에선 4, 5번째 칸이며, 8호선은 3, 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은 탓에 따로 약냉방칸을 운영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혼잡한 열차는 인간의 체온 때문에 객실 온도가 오른다. 혼잡도를 미리 확인해 덜 붐비는 칸에 탑승하는 것도 시원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소소한 팁인 셈이다.
한편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무더위로 인해 냉난방 불편 민원이 폭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14일 공사가 접수한 불편 민원 5만9386건 중 냉난방 불편 민원은 5만1145건으로 81.6%에 달했다. 열차 승무원들은 출퇴근 시간대에 전 냉방 장치 및 송풍기를 가동하는 등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해 대응하고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쾌적한 지하철 이용 환경 조선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승객 여러분도 지하철 이용 시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