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보·DB 등 금융복합기업 '자본적정성 비율' 개선…삼성·현대차는 하락

시계아이콘00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업집단 전체 작년 말 적정성 비율, 2022년 대비 6.1%P ↑
교보 64.4%p포인트, DB 52.8%포인트, 한화 23.4%포인트 상승

교보·DB 등 금융복합기업 '자본적정성 비율' 개선…삼성·현대차는 하락
AD

삼성, 한화, 교보, 미래에셋, 현대차, DB, 다우키움 등 금융복합기업집단 전체의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이 193.7%로 전년 대비 6.1%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삼성, 현대차, 다우키움의 개별 자본적정성 비율은 일년전보다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들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자본적정성비율 개선에 이어 통합자기자본도 175조7000억원으로 2022년 121조1000억원 대비 54조6000억원 증가(45.1%)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권역의 새 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으로 인한 보험계약마진(CSM)의 가용자본 인정·보험부채 시가평가 등에 주로 기인할 것으로 풀이된다.


통합필요자본도 90조7000억원으로 2022년 64조6000억원 대비 26조1000억원(40.4%) 늘었다. K-ICS 도입에 따른 보험계열사 신규 보험위험인 장수·해지·사업비·대재해 등이 반영됐고 주식 위험액 등 시장위험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금융복합기업집단별로는 교보(238.9%), DB(218.7%), 삼성(210.5%), 다우키움(208.7%), 한화(172.2%), 미래에셋(155.3%), 현대차(154.6%) 순으로 자본적정성 비율이 높았다. 2022년 대비 교보는 64.4%p포인트, DB는 52.8%포인트, 한화는 23.4%포인트, 미래에셋은 8.5%포인트 상승한 반면 삼성, 현대차, 다우키움은 각각 19.5%포인트, 8.0%포인트, 12.5%포인트 하락했다.



장항필 금감원 금융그룹감독실 팀장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전반적으로 손실흡수능력이 양호한 수준이지만 당초 예상보다 고금리·고환율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금융시장 불확실성 및 변동성 확대에 따른 불안요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전이·집중위험 등 그룹 잠재리스크에 대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위험관리 강화도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