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셀트리온, 프랑스 최대 입찰시장에서 램시마 등 낙찰 성공

시계아이콘01분 0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셀트리온은 최근 프랑스 최대 규모 의약품 조달기관인 주요 대학병원 연합 구매단체인 유니하(UniHA) 입찰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와 항암제 허쥬마·베그젤마 수주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셀트리온, 프랑스 최대 입찰시장에서 램시마 등 낙찰 성공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사진제공=셀트리온]
AD

유니하는 프랑스 의료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가진 대형 기관으로 성분별 시장에서 인플릭시맙(램시마) 30%, 베바시주맙(베그젤마) 27%, 트라스투주맙(허쥬마) 1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번 수주를 통해 셀트리온은 이달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이들 3개 제품을 유니하에 단독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프랑스의 지방 공립병원 연합 중 하나인 브르타뉴 지역 입찰에서도 허쥬마와 베그젤마 낙찰에 성공해 이달부터 2028년까지 4년간 이들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병원 입찰 중심으로 운영되는 프랑스 의약품 공급 시스템을 고려해 입찰 관계자들과 우호적인 네트워크를 넓히는 데 주력해왔다. 이를 토대로 입찰 과정의 수요를 면밀히 파악해 제품 강점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 성과, 의약품 공급 안정성 등 다양한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해서 알리며 기업 및 제품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왔다. 2020년 유럽에서 램시마의 직판 전환 이후로는 보다 전략적인 가격 정책 운용이 가능해지면서 시장 확대의 기회를 꾸준히 노려왔다.


이러한 노력을 토대로 셀트리온은 유럽 주요 5개국(EU5) 중 하나인 프랑스에서 강력한 성장세를 보인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램시마는 지난해 4분기 기준 50%의 점유율로 경쟁 제품을 압도하고 있다.


후속 제품들도 프랑스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치료제 램시마SC는 치료 효능 및 편의성을 바탕으로 지난해 4분기 26%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특히 램시마와 합산할 경우 점유율이 76%에 달하며 프랑스 인플릭시맙 시장에서 처방 1위 치료제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외에도 지난달 유럽의약품청(EMA)에서 판매 허가를 받은 졸레어의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를 비롯해 허가를 신청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 등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김동규 셀트리온 프랑스 법인장은 “프랑스 주요 입찰 시장을 대상으로 우호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맞춤형 세일즈 활동을 강화한 결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항암제 등 셀트리온이 보유한 전 제품에서 입찰 수주 성과를 순조롭게 확대해가고 있다”며 “올해 예정된 입찰에 더 공격적으로 참여하고, 후속 제품 및 파이프라인에서도 압도적인 성과를 이어가 더 많은 환자에게 셀트리온 치료제가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