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우주선 상용화 여정에 새 이정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 '스타십'이 4 시도 만에 성공적인 지구 궤도 시험 비행을 마쳤다.
스페이스X는 6일(현지시간) 오전 7시50분(미 중부시간) 텍사스주 남부 보카 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달·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한 스타십을 발사했다.
스타십은 발사 약 3분 후 전체 2단 발사체의 아랫 부분인 '슈퍼헤비' 로켓이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스타십 우주선은 시속 2만6225㎞ 안팎으로 고도 210㎞에 도달해 예정된 지구 궤도 항로를 비행했다. 이어 발사 40분가량 지난 시점부터 고도를 낮추며 대기권에 재진입해 바다에 착수해 약 70분간의 여정을 완료했다. 슈퍼헤비도 우주선에서 분리된 후 처음으로 착륙 연소에 성공하고 멕시코만에 연착륙해 발사 후 약 8분 만에 비행 테스트의 주요 목표를 달성했다.
스페이스X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스플래시다운이 성공했다. 전체 스페이스X 팀에게 축하를 보낸다"며 "스타십의 흥미진진한 네 번째 비행 테스트를 축하한다"고 밝혔다.
스플래시다운은 우주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낙하산으로 속도를 줄이면서 바다에 착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스페이스X는 지난 3월 스타십의 지구궤도 시험 비행을 세 번째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스타십이 48분여간 비행하며 궤도에 도달했지만 낙하 과정에서 교신이 끊겼다. 지난해 4월과 11월에도 시험 비행을 시도했지만 각각 약 4분, 8분 만에 실패했다.
머스크 CEO는 화성을 개척해 인류가 이주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스타십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시험 비행 성공으로 인류가 화성으로 나아가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워졌는 평가가 나온다. 일론 머스크의 우주선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스페이스X의 거대한 스타십은 우주로 날아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살아남았다"며 "머스크의 우주선 상용화를 향한 여정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보도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