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기후위기 대책 292개 중 191개(65.4%)가 우수 평가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 추진상황 점검결과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지난해 이뤄졌던 국가대책의 추진상황을 매년 점검한다. 평가는 전문가 42명과 일반 국민 50명이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우수사례로 국토교통부의 ‘‘반지하 등 재해취약주택 점진적·단계적 정비’ 사업을 꼽았다. 반지하 주택 중 공공임대의 경우 공공사업자가 침수방지시설을 우선 설치토록 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민평가단은 국립생물자원관의 ‘기후변화 적응 모니터링을 위한 국민 참여 확대’ 사업을 우수사례로 선정했다. 시민과학자와 청소년이 팀을 이뤄 기후변화 생물지표를 관찰한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다만 기후적응 정보서비스 기능이 부처별로 산재해 효율적 서비스 이용에 한계가 있다는 전문가들의 평가 의견이 나왔다. 환경부는 관련 정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민들이 빠르고 쉽게 활용하도록 종합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