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군의관 확보… 국방의대 설립 추진되나

시계아이콘00분 4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방부, 연구용역 발주… 장기지원자 지난해 0명 심각

국방부가 국방의대 설립 추진을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한다.


군의관 확보… 국방의대 설립 추진되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16일 국방부에 따르면 국방부는 장기 군의관 확보 차원에서 여러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방안 중에 하나로 국방의대를 추진 중이다.


군의관 장기 복무 지원자는 최근 10년간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군의관은 3년 의무 복무인 단기, 10년 복무하는 장기로 나뉜다. 장기 지원자는 2014년 4명, 2015년 2명, 2016년 3명, 2017년 2명, 2018년 1명, 2019년 3명, 2020년 0명, 2021·2022년 각 1명, 2023년 0명이었다. 그 결과 지난해 7월 기준 전체 군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군의관 2400여 명 가운데 장기 군의관은 7.7%에 그쳤다.


장기 군의관 부족은 군 의료진의 숙련도 저하로 이어진다. 국방부는 장기 복무 지원자 확대를 위해 복무 기간 유연화, 임금 인상 등의 방안을 추진해왔으나 한계가 있다고 보고 안정적 수급을 위해 의대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 의대가 설립되면 군 의료 수준 향상뿐 아니라 공공의료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국방부는 보고 있다. 국방부는 2011년 국방의학원 설립을 통한 장기 군의관 배출이 논의되다가 의료계 반발로 무산된 이력이 있는 만큼 이번에는 의료계, 유관 기관, 국회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거친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 의대 설립은 장기군의관 확보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는 다양한 방안 중 하나이나 아직 검토 단계이며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