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야간영업 골프장, 크게 늘었다

시계아이콘00분 5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레저산업연구소 발간 레저백서 2024 자료
210개소 전체 40%, 수도권·영남권 집중
그린피가 싸고 시원해 젊은층, 여성골퍼 선호

야간영업을 하는 골프장이 크게 늘었다.

야간영업 골프장, 크게 늘었다 라이트 시설을 갖춘 세레니티CC 18번 홀 전경이다.
AD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17일 발간하는 레저백서 2024에 따르면 전체 골프장 523개소 중 야간영업을 하는 골프장이 210개소로 40.2%에 달했다. 연도별로 2021년 166개소, 2023년 184개소, 올해에는 210개소다. 코로나19 특수를 맞아 골프 수요가 급증한 데다 값싸고 시원하게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골프 수요가 풍부한 수도권·영남권에 집중됐다. 수도권에는 71개소로 지난해보다 6개소 늘어나면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대구·경북권 40개소, 부산·울산·경남권 34개소, 강원 19개소, 충북은 18개소다. 반면 야간 골프 수요가 부족한 전북은 4개소, 제주도는 2개소에 불과했다.


야간영업을 하는 대중형 골프장 18홀 이상은 107개소로 전체 258개소의 41.5%, 대중형 골프장 9홀은 54개소로 전체 112개소의 48.2%에 달했다. 반면 회원제 골프장은 49개소로 전체 153개소의 32.0%에 그쳤다. 대중형 골프장들이 수익성 제고를 위해 야간영업을 하지만 회원제 골프장들은 코스 잔디 훼손, 인력관리 어려움 등 때문에 야간영업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간영업을 하면 골프장은 이용객 수와 매출액이 증가하고 골퍼들은 덥지 않은 야간에 저렴한 가격으로 라운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강원도 횡성에 위치한 벨라스톤CC(대중형 18홀)이 대표적이다. 6월의 주간 그린피는 주중 최고가가 15만9000원, 주말 20만9000원이지만 야간에는 주중 9만9000원, 주말 14만9000원에 불과하다. 캐디피도 15~16만원에 달하는 다른 골프장과는 달리 마샬캐디제를 도입해 팀당 10만원에 이용할 수 있다. 벨라스톤CC에서 야간에 골프를 치면 주간에 라운드를 하는 것보다 1인당 약 7만25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서천범 소장은 "덥고 비싼 낮에 골프를 치는 것보다 야간에 골프를 하면 골프비용이 저렴하고 시원하게 플레이할 수 있어서 젊은 층과 여성 골퍼 등 알뜰 골퍼들이 야간경기를 선호하고 있다"며 "골프장은 추가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노우래 기자 golfm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