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국 내 한국전 일부 참전비 동해·일본해 병기로 변경

시계아이콘00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14개 중10개 참전비는 일본해 단독 표기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미국 내 14개 한국전 참전시설물 중 4개가 일본해 단독 표기에서 동해와 일본해 병기로 변경됐다.


미국 내 한국전 일부 참전비 동해·일본해 병기로 변경
AD


16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재외공관을 통해 현지 지방정부와 한국전 참전협회에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꾸준히 요구해 미국 측이 우리 측 요청을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미국내 한국전 참전시설물은 총 14개다. 이들 14개 한국전 참전시설물은 한반도 동쪽의 바다를 ‘동해(East Sea)’가 아닌 ‘일본해(Sea of Japan)’으로 표기했다.


이 중 메릴랜드 한국전 참전비(1990년·이하 설치시기)와 오하이오 한국전 추모공원(1995년), 레이크 카운티 한국전 참전비(2003년), 카유가 카운티 한국전 참전비(2006년)는 최근 1년 새 일본해 단독 표기를 동해와 일본해 병기로 변경했다. 다만 뉴욕주(1990년)·호놀룰루(1994년)·렌슬러 카운티(1996년)·사우스캐롤라이나(2000년)·캔자스(2001년)·노스이스트캔자스(2003년)·파인빌(2005년)·아이오와(1989년)·먼로 카운티(1990년)·아크론대(2001년)에 있는 10개 한국전 참전비는 여전히 동해를 일본해로 단독 표기하고 있다.


보훈부는 6·25전쟁 60주년이던 2010년 해외 참전기념 시설물 사진이 담긴 도감 발간을 준비하면서 한국전 참전비에 일본해 단독 표기 사례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한국전 참전시설물에 있는 일본해 단독 표기를 동해와 일본해 공동 표기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지만 오랜 기간 성과를 내지 못하다가 최근 1년 새 4개 참전시설물에서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이뤄낸 것이다.


정부는 국제사회를 향해 한반도 동쪽 바다에 대한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주장해 왔지만, 일본 정부는 일본해 단독 표기 입장을 고수해 왔다. 미국 측이 일본의 반대를 의식해 우리 정부의 동해와 일본해 병기 요청을 수용하지 않다가 지난해 이후 한일관계가 크게 개선되자 태도를 바꿨다는 설명이다.



보훈부는 여전히 일본해만 표기하고 있는 미국 내 한국전 참전시설물에 대해서도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추진할 방침이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