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IUCN에 의견서 전달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저어새 멸종위기등급 두단계 하향 조정 움직임에 우려를 나타냈다.
6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인천갯벌세계자연유산등재추진협력단은 최근 IUCN에 이 같은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전달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의견서에서 "저어새는 세계적으로 2010년 2000여마리에서 올해 초 6000여마리로 증가했지만, 멸종위기등급을 기존 '위기' 단계에서 '취약'으로 한단계 조정이 아닌 '준위협'으로 두단계 낮추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동안 인천에서는 해마다 둥지 터를 정비하고 둥지 재료를 가져다 놓으며 모니터링을 통해 번식과정을 기록하는 등 시민의 자발적이며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다"며 "이런 시민의 노력이 없었다면 저어새 개체 수는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멸종위기에 처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저어새는 전 세계 번식군의 90% 이상이 한반도 서해안 무인도에서 번식하며 특히 강화도와 영종도, 남동유수지 등 인천의 갯벌과 연안의 번식지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며 "멸종위기등급 두단계 하향 조정이 자칫 저어새 보호와 서식지 보전에 악영향을 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협력단은 "갯벌을 가로지르는 다리(도로) 계획이 추진되고 주변의 논들도 조금씩 사라지는가 하면, 만조시 휴식지로 이용되는 곳에선 개발계획이 진행되는 등 저어새 서식지는 여전히 훼손 위협을 받고 있다"며 "저어새 멸종위기등급 조정에 신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제기구인 IUCN은 저어새의 멸종위기등급 조정을 검토하기 위해 관련 기구·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