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실 "尹·李 영수회담에 비공식 특사, 물밑 라인 없었다"

시계아이콘00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영수회담 '비공식 특사' 가동 논란 일축

대통령실 "尹·李 영수회담에 비공식 특사, 물밑 라인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열린 영수회담에서 대화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난달 29일 영수회담 준비 과정에서 비공식 특사 라인이 가동됐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거창하게 특사라든지, 물밑 라인 그런 건 없었다"고 일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영수회담을 위한 비공식 특사 활동이 있었는지 묻는 사실관계 확인 질문에 "공식 라인 거쳐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주 오래전부터 대통령은 이재명 대표를 만나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언론에서 칼럼도 쓰고, 여당 내에서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기하신 분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대통령이 결정해서 직접 이 대표에게 전화했다"며 "지금까지 그런 식의 회담을 할 때 대통령이 직접 전화해서 성사된 적은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19일에도 윤 대통령이 이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용산에서 만나자는 제안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한국일보는 이날 함성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장과 임혁백 고려대 명예교수가 각각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대리인 자격으로 영수회담 조율을 위한 비공식 특사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


함 원장과 임 교수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차기 대선에서 이 대표에게 불편한 인사를 대통령 비서실장 인선에서 배제하겠다는 뜻을 전하고, 이 대표 직통 전화번호로 '핫라인'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등 유화 제스처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관계자는 이날 신설된 대통령실 민정수석 역할에 사정 기능이 제외되는 것이 맞느냐는 질문에는 "조직을 만들때 이끌어가는 사람의 뜻이 중요한 것 아니겠나"라며 "(김주현) 민정수석 경력을 보면 알겠지만 이런 업무를 하는데는 최적화 돼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공직기강비서관실, 법률비서관실, 민정비서관실 정도로 구성할 생각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