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진스·아이브 포토카드가 1천원?…알리서 넘쳐나는 짝퉁 K팝 상품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中, 짝퉁 상품 판매로 수익"
"정부 적극적인 대처 필요"

중국 쇼핑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케이팝 스타들의 짝퉁 상품이 잇달아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뉴진스, 아이브 등 K팝 스타들을 검색하면 이른바 짝퉁 상품이 버젓이 팔리고 있어 큰 논란이 예상된다"고 했다.


실제로 알리익스프레스에선 뉴진스 등 아이돌 포토 카드가 0.99달러로 약 1300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또 펜던트(1.48달러), 키링(1.89달러), 티셔츠(3.17달러)를 비롯한 다양한 굿즈도 초저가로 팔리고 있었다.


뉴진스·아이브 포토카드가 1천원?…알리서 넘쳐나는 짝퉁 K팝 상품 [이미지출처=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알리익스프레스]
AD

서 교수는 "이 가격이라면 K-POP 스타들의 소속사와 초상권, 저작권을 협의한 상황이 아님을 누구나 인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까지 중국은 '더 글로리', '오징어게임', '우영우' 등 세계인들에게 인기 있는 K-드라마를 불법 다운로드해 '도둑 시청'하는 것이 일상화가 돼 버렸다"며 "더욱 기가 막힌 건 드라마에 등장한 한류 스타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고, 짝퉁 상품을 만들어 판매해 자신들의 수익구조로 삼아 왔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뉴진스·아이브 포토카드가 1천원?…알리서 넘쳐나는 짝퉁 K팝 상품 [이미지출처=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알리익스프레스]

끝으로 서 교수는 "우리 소비자들도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하고, 무엇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도 필요한 시점"이라며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에도 신경 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中 알리·테무 저가 공세에…1분기 해외직구 中 비중 역대 최대

한편 올 1분기 해외 직접구매(직구)에서 중국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1조647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 늘었다. 역대 1분기 가운데 최대 규모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9384억원, 미국이 3753억원, 유럽연합(EU)이 1421억원이었다.


중국이 전체 직구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분기 40.5%에서 올해 1분기 57%로 16.5%포인트 늘었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큰 비중이다.



중국 직구액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저가 제품을 앞세운 중국 온라인 쇼핑업체의 국내 시장 점유 비중이 높아진 영향이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달 중국 이커머스 앱 '테무'의 국내 신규 설치 건수는 228만344건으로 전체 앱 중 가장 많았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