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배 책임 당과 대통령실 구분할 문제 아냐
"저 역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아"
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이 제22대 총선의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서 여권이 대패한다는 결과가 나오자 "민심이 무섭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 위원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 강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경합 지역을 다 가져간다고 해도 개헌 저지선을 확보하는 게 불가능할 것 같다"며 "제가 선거 치르면서 무섭다고 했는데, (민심이) 무섭다"고 말했다. 아울러 "개헌저지선 아래로 갈 것이라고는 개인적으로 생각해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당정 간 패배 책임을 구분할 때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당과 대통령실을 구분할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며 "국민이 어떤 판단을 했는지 고려해야 하는데 대통령실과 당을 구분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정 간 소통 문제가 총선에서 발목을 잡았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은 "결국 돌고 돌아서 소통의 문제"라며 "말을 하면 다들 무서워하고 겁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가 책임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최근 일주일, 열흘 사이 계속 저와 한 위원장에 대한 공격이 왔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권 심판론이 야권에서 불거진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수원시정 후보의 막말 논란과 양문석 민주당 안산시갑 후보의 편법 대출 논란 등을 덮었다고 해석했다. 김 위원은 "저는 김 후보, 양 후보가 하나의 바로미터로 봤다"며 "국민들로서는 김 후보, 양 후보를 덮을 뭔가를 가지고 계셨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본인을 포함해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위원은 "섣부르다는 생각이 드는데, 여하튼 (한 위원장이) 책임은 져야 한다"며 "저 역시 자유롭지 않다"고 말했다. 아울러 "(비대위 위원 사의는) 한편으로 무책임할 수 있다"면서도 "사퇴하는 게 가장 현실적 방법이라 생각하면 언제든 또 사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