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노레이블스, 대선 제3후보 안낸다…바이든 ‘안도’

시계아이콘01분 0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 출마할 제3 후보를 물색해온 중도 정치단체 '노레이블스'가 입후보 포기를 선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중도·진보 표심 분산 우려를 덜었다는 평가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낸시 제이컵슨 노레이블스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노레이블스는 백악관에 입성할 가능성이 유력한 사람일 경우에만 후보로 내겠다고 늘 말해왔다"면서 "그런 인물이 등장하지 않았기에 이쯤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이어 "선거 이후에도 미국의 상식적인 다수의 가치와 이익을 대변하고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美 노레이블스, 대선 제3후보 안낸다…바이든 ‘안도’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앞서 노레이블스는 독자 대선 후보를 내기로 결정하고 지난달 후보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7000만달러의 예산을 확보한 노레이블스는 이후 애리조나, 알래스카, 콜로라도, 오레곤, 유타 등지에서 투표 자격을 얻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30여명의 민주당 및 공화당 인사에 접근했음에도 인지도 있는 후보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공화당의 경우 대선 경선에서 사퇴한 크리스 크리스티 전 뉴저지 주지사와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 래리 호건 전 메릴랜드 주지사, 민주당에선 조 맨친 상원의원 등이 출마 제의를 받았지만 모두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레이블스의 이번 결정은 바이든 대통령에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도 성향의 노레이블스가 후보를 내면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중도·진보 표를 빼앗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경계해온 민주당 인사들도 안도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소속인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은 지난해 말 "노레이블스 때문에 우리의 민주주의가 위험에 처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노레이블스가 이번 대선 레이스에서 빠지더라도 제3 후보가 등장할 변수는 여전히 존재한다.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진보 철학자 코넬 웨스트, 녹색당의 질 스타인 등이 완주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 출신의 케네디 후보는 최근 폭스뉴스 등 현지 언론의 여론조사에서 1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가상 다자 대결에선 케네디 후보가 바이든 대통령의 표를 공화당 소속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표보다 더 많이 잠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부 민주당 인사는 최근 민주당 전국위원회에서 케네디 주니어를 두고 '스포일러', '음모론자'와 같은 공격적 언사를 내뱉는 등 경계에 나서기도 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