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AB을 찾아서]공유숙박·마이스 산업…관광의 모든 것이 연구대상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고영대 세종대 교수 연구팀
공유숙박 호스트 실거주 영향 없어
호텔관광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진행

고영대 세종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 연구팀이 ‘국내 공유숙박 심층 연구를 위한 세미나’에서 호스트 실거주 여부는 지역주민 지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LAB을 찾아서]공유숙박·마이스 산업…관광의 모든 것이 연구대상 고영대 세종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왼쪽 아래)와 관광산업연구소 구성원들.[사진제공=세종대]
AD

고 교수팀은 지난해 11월 17~2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총 238명을 대상으로 공유숙박 지지도 및 선호도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한 뒤 T-TEST 통계기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공유숙박 관련 제도를 설계할 때 지역 주민들의 입장을 변수로 삼는다고 하더라도 실거주 여부는 고려사항이 아니라는 것과 이용자 측면에서는 호스트가 실거주하지 않는 경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공유숙박에 대한 지지도는 호스트가 거주하는 경우(평균 3.80점)와 비거주하는 경우(평균 3.81점)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호스트가 거주하는 경우(평균 3.37점)보다 비거주 하는 경우(평균 3.77점)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숙박 플랫폼을 통한 이용 지지도·선호도(평균 4.51점·4.48점)가 개인이 직접 운영 관리하는 경우(평균 2.97점·2.88점)에 비해 크게 높았다.


고 교수팀은 호텔 관광 분야의 다양한 산업체와 함께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고 교수는 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를 이끌며 호텔 관광산업의 데이터 애널리틱스, 디지털 전환,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한 인공지능(AI)·알고리즘 개발과 관련해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젝트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고 교수는 2020~2022년 글로벌 경영 컨설팅사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살려 마이스(MICE, 기업 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분야의 다양한 산업체에 기술기반 경영 컨설팅을 수행했다. 최근에는 스테이네오 등 호스피탈리티 테크 기업들과 협업해 국내 중소형 호텔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고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호텔 관광산업 대부분의 기업이 깊은 고민을 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 대형 여행사 및 대기업 계열 특급호텔들은 데이터 분석 등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해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