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유효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이 9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의대 재학생의 약 절반이 휴학을 신청한 것이다.
24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22~23일 이틀간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2개교에서 415명이 유효 휴학을 신청했다.
이 기간 기존에 냈던 휴학계를 철회한 학생은 2개교 4명으로 나타났다.
유효 휴학 신청은 학칙의 절차를 지켜 제출된 휴학계다.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누적 9109건이 됐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793명)의 48.5%가 휴학을 신청한 것이다.
교육부는 지난달까지 학칙 준수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들이 낸 휴학계 규모를 모두 집계했다. 이렇게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은 총 1만3697명(중복 포함)이었다. 그러나 이달부터 유효 휴학 신청만 집계하고 있다. 절차를 지키지 않은 휴학은 반려해달라고 각 대학에 요청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지난 20일 2000명 증원분의 대학별 배분 결과를 발표하면서 동맹 휴학 등 의대생들의 집단행동도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형식 요건을 갖췄더라도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기 때문에 허가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지난 22~23일 수업 거부가 확인된 대학은 모두 8곳이다. 수업 거부를 지속할 경우 집단 유급에 처할 수 있다. 이에 대학가는 당초 2월인 본과생 개강을 이달 말까지 연기하거나, 개강 직후부터 휴강을 이어가고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