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럼피스킨 백신접종 4월 시작…정부, 재발 방지 대책 본격 추진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2024년 럼피스킨 방역관리 기본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국내 사육 소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럼피스킨의 재발 방지를 위해 '2024년 럼피스킨 방역관리 기본 계획'에 따라 백신접종, 제도개선, 위험도에 따른 예찰·방제, 민·관·학 협력 등의 방역 대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먼저 위험도 평가 결과에 따른 고위험 지역과 2023년 발생지역 등 40개 시·군의 소 129만두에 대해 럼피스킨을 전파하는 침파리 등 매개곤충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전인 4월에 백신을 접종하고, 그 외 지역의 소 267만두에 대해서는 10월까지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다.


럼피스킨 백신접종 4월 시작…정부, 재발 방지 대책 본격 추진 (자료사진)
AD

사육규모가 50두 이상인 농가는 다음 달 1~14일 2주간 자가접종하고, 50두 미만인 소규모 농가와 고령 등의 이유로 자가접종이 어려운 농가에는 공수의 등으로 구성된 접종지원반(261개반 486명)을 편성해 4월 한 달간 접종을 지원한다.


또 2023년 발생 농가가 서해안 지역에 집중돼 있고, 항만 등을 통한 유입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이에 대비한 농가와 항만 인접 도로 등에 대한 예찰·방제를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함께 해외에서의 럼피스킨 발생 상황을 지속 감시하고, 발생국과의 인적·물적 교류로 인한 병원체나 매개체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주요 항만 방제, 수입원료 운송 차량에 대한 방역 조치 등 국경관리 대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외에 생산자단체와 전문가 등 의견수렴을 걸쳐 긴급행동지침(SOP) 등 제도를 개선하고 현장과 학계, 관련 단체 및 방역 기관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관·학 전문가협의회를 지속 운영해 방역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작년에는 럼피스킨 발생 초기의 과감한 방역 조치와 신속한 백신접종으로 약 1개월 만에 안정화돼 축산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했으나 아직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럼피스킨 재발 방지를 위해 올바른 접종요령에 따라 백신접종을 철저히 실시해달라"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