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7년 연속 '가장 행복한 나라' 차지한 핀란드…한국은 52위

시계아이콘00분 4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 행복도 점수, 지난해보다 5계단 상승
상위권은 북유럽…꼴찌는 아프가니스탄

핀란드가 7년 연속 가장 행복한 나라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작년보다 5계단 오른 52위로 조사됐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20일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을 맞아 이 같은 내용의 '세계행복보고서'(WHR)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주관적 안녕(SWB)에 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조사 직전 3년 치 데이터를 반영해 점수와 순위가 산출된다. 올해 보고서는 2021∼2023년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올해 행복도 1위는 핀란드(7.741점)로 7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2∼4위를 차지하는 등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을 지켰다. 5∼10위는 이스라엘, 네덜란드,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스위스, 호주 순이었다.


한국 행복도 점수는 6.058점으로, 52위로 집계됐다. 2022년엔 57위(5.935점), 2021년엔 62위(5.845점)였다. 2020년 탈레반 집권 후 인도주의 위기를 겪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이 조사 대상 143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7년 연속 '가장 행복한 나라' 차지한 핀란드…한국은 52위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보고서는 더이상 행복 순위가 높은 나라들 목록에 인구가 많은 나라가 포함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상위 10개국 중 네덜란드와 호주만 인구 1500만명이 넘는다"며 "상위 20개국 중에선 캐나다와 영국만 인구가 3000만명 이상"이라고 했다.



또 상당수 국가에서 청년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북미와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2006∼2010년 이후 젊은 세대의 행복도가 급격히 떨어져 이제는 노년층의 행복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부와 동부 유럽 국가에서는 젊은층의 행복도가 훨씬 높았다. 서유럽에서는 모든 연령대의 행복도가 비슷했지만, 그 밖의 지역에서는 생애주기에 걸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