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기준 최대 흑자 1.8억달러
문화예술저작권, SW저작권 모두 흑자
음악, 드라마 등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작년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1억8000만달러로 연간 기준 최대 흑자를 보였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3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2023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1억8000만달러로 2010년 통계편제 이후 연간 기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2022년 11억1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상반기엔 1억9000만달러 적자에서 하반기 3억7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유형별로 보면 산업재산권은(-18억6000만달러) 적자, 저작권(22억1000만달러)은 흑자를 보였다.
산업재산권은 특허 및 실용신안권(-7억달러)과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11억7000만달러)을 중심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저작권은 문화예술저작권(11억달러)와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 저작권(11억1000만달러)에서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문혜정 한은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 팀장은 산업재산권 적자에 대해 "해외 공장 증설, 국내 제품 수요 증가 등으로 자동차, 2차전지 등 국내 대기업의 해외 현지 법인에 대한 특허 및 실용신안권 수출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음악, 드라마, 웹툰 등 K-콘텐츠의 수출이 견조한 가운데 코로나 엔데믹 이후 K-아티스트들의 해외 공연이 확대되면서 문화예술저작권이 역대 최대 흑자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 저작권은 게임산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기업의 해외 자회사 IT 지원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수출이 증가하면서 흑자를 보였다.
기관 형태별로 보면 대기업(62억4000만달러)은 국내 대기업(60억7000만달러)을 중심으로 흑자를 보였고, 중소기업(-61억1000만달러)은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57억7000만달러)을 중심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제조업(27억7000만달러)은 반도체 등 전기·전자제품(21억1000만달러), 자동차·트레일러(16억5000만달러)를 중심으로 흑자를 보였다.
반면 서비스업(-27억1000만달러)은 정보통신업(-14억5000만달러), 도매 및 소매업(-8억1000만달러), 사업시설 관리 및 지원업(-5억2000만달러)을 중심으로 적자를 보였다.
거래 국가별로는 중국(25억2000만달러), 베트남(13억6000만달러)에서 흑자를 보였지만 영국(-32억3000만달러), 미국(-20억9000만달러) 등에서 적자를 나타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