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한 독립 만세” … 105년 전 그날의 함성 경남 고성에서 울리다

시계아이콘00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한 독립 만세” 경남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일원에서 105주년을 맞는 3·1절을 기념해 그날이 함성이 우렁차게 울렸다.

“대한 독립 만세” … 105년 전 그날의 함성 경남 고성에서 울리다 105년 전 그날의 함성이 ‘고성’에 다시 울리다.
AD

고성군 3·1운동 창의탑 보존위원회는 지난 19일 회화면 배둔리 3·1운동 창의탑 행사장에서 ‘제105주년 3·1절 배둔장터 독립 만세운동 기념행사’를 열었다.


배둔장터 독립 만세운동은 1919년 고종황제의 인산(장례식)에 갔다가 서울에서 3·1만세운동에 참가했던 최낙종, 최정철 선생이 고성으로 돌아와 허재기, 최정원 등 여러 인사들을 비밀리에 규합한 후, 1919년 3월 20일 700∼800여명의 군중이 일본 헌병과 경찰관의 협박에도 저항해 대한독립 만세를 부른 것에서 유래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배둔장터 독립 만세운동 기념행사는 지난 2008년부터 시작돼 올해로 14회째를 맞았다.


이날 기념식에는 고성군 내 독립애국지사 유족 및 보훈단체, 기관·사회단체, 학생 등을 비롯해 군민 350여명이 참석해 105주년을 맞는 3·1절을 기념하며 독립애국지사와 순국선열들의 위업과 독립 만세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기렸다.


기념식에 이어 행사참가자들은 창의탑을 출발해 회화면 배둔시장을 지나는 길을 함께 행진하며 105년 전 배둔장터에 울려 퍼진 대한독립 만세운동을 재현해냈다.


최근호 보존위원장은 기념사에서 “방화산 기슭인 회화면 배둔리 881-1에 퇴색되어 가는 창의탑을 보고 관심이 있던 분들이 2005년 5월 이전추진위원회를 발기해 2007년 4월 현 부지(회화면 배둔리 1288-28)에 이전 건립하면서 오늘의 창의탑이 있게 됐다”면서 “105주년 3·1절 기념행사를 이러한 뜻깊은 장소에서 14회째 성황리에 거행하게 되어 가슴이 벅차다”고 말했다.



이상근 군수는 축사를 통해 “105년 전 구만면 국천사장을 시작으로 이곳 배둔장터에서 선조들이 치열하게 외쳤던 독립 만세운동은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고성의 자랑스러운 역사이다”면서 “앞으로 우리도 후손들이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자유와 평화, 번영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라고 했다.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