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재명, '盧 사위' 지원사격…"尹정부에 회초리 들자"

시계아이콘01분 2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李, '정치 1번지' 종로에서 곽상원 지원사격
'공천 파동' 잡음에도 총선 유세 본격 시동
"희한한 소리 난무해도 전진…尹 심판하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천 파동'에 따른 당 안팎의 잡음에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 곽상언 변호사를 지원하며 현장 행보를 시작했다. '정치 1번지'로 꼽히는 서울 종로구에서 '정부 심판론'을 부각하는 데 무게를 뒀다.


이재명 대표는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후보자로 확정된 곽 변호사 선거사무소를 찾아 "존경하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꿈인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 '사람 사는 세상'과 제가 꿈꾸는 억강부약의 함께 사는 세상, 대동 세상을 종로에서 곽 후보자가 반드시 이뤄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종로가 어렵다고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의 꿈이 남아있는 곳이고, 곽 후보가 그 뒤를 이을 것"이라며 "이번 총선을 반드시 승리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盧 사위' 지원사격…"尹정부에 회초리 들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서울 종로구 창신시장을 찾아 총선에 출마한 곽상언 변호사의 지지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이날 이 대표의 일정은 총선 국면에 들어선 뒤 첫 격전지 지원 방문으로, 정치적 상징성을 가진 종로에서 '총선 모드'로 본격 전환하겠다는 신호탄을 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중구성동구갑 공천 배제 결정에 반발했던 '친문계 핵심'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사실상 당 잔류로 해석되는 입장을 밝힌 지 2시간 만에 이런 일정을 추가 공지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노 전 대통령의 사위 곽 변호사를 통해 당의 정통성과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전열을 가다듬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표는 "힘을 합치자"며 "온갖 희한한 소리가 난무해도 우리는 한발짝씩 앞으로 나아간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공천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현장을 가기로 했는데, 첫 번째로 종로를 특별히 선택한 의미를 이해하시겠죠"라며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이후 곽 변호사, 노 전 대통령의 딸 정연씨 등과 함께 창신시장을 찾은 이 대표는 유권자를 만나 지지를 호소했다. 시민들을 향해 "무도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할 준비 되셨느냐"며 반드시 심판하자"고 했다. 그러면서 "경제에 관심 없는 윤석열 정권에 회초리를 칠 수 있게 해달라"며 '정권 심판론'을 부각했다.


족발집과 약국, 갈빗집 등 시장 곳곳을 다니면서 지지자와 '셀카'를 찍기도 했다. 또 어느 상인이 '올해가 가장 장사가 안된다'고 푸념하자, "경제 살리기가 정치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인데, 이 정부는 관심이 없다"며 "이번에 회초리로 혼을 내 정신이 들게 해야 신경을 쓰고 국민 무서운 줄 안다"고 했다.


이재명, '盧 사위' 지원사격…"尹정부에 회초리 들자"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서울 종로 곽상언 후보가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창신시장을 찾아 족발을 먹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재명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서도 "국민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아 나라 살림을 하는 윤석열 정권이 이렇게 무능·무책임·무대책에 무관심한 점에 주인들이 회초리를 들어 혼을 내야 할 때"라며 "총선이 혼낼 수 있는 결정적 기회"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 "측근과 가족들은 온갖 범죄 혐의가 있어도 방치하고, 타인엔 없는 티끌을 만들어 재판을 보내 고생시키고, 해외에서 돈 써가며 나라 망신시키면 심부름꾼 자격을 박탈하겠다는 의지를 보여달라"며 "국민이 바보가 아니라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