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거래소, 장외파생상품 청산잔고 2000조 돌파

시계아이콘01분 1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청산금액 연평균 약 24% 성장

한국거래소 장외파생상품 청산 잔고가 20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4일 한국거래소는 장외파생상품 중앙청산소(CCP) 청산 개시 10주년을 맞이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거래소, 장외파생상품 청산잔고 2000조 돌파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한국거래소는 2009년 G20 합의에 따라 2013년 청산업 인가를 받고 이듬해 3월3일 원화이자율스왑에 대한 청산 서비스를 개시했다.


거래소는 CCP로서 다자간 차감을 통해 결제 규모를 축소했으며 결제이행 보증을 통해 금융기관 파산 시에도 연쇄도산 가능성을 차단하는 등 금융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수행해왔다.


청산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달 말 기준 20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10년간 청산 금액은 연평균 약 24% 성장, 청산 잔고는 연평균 28% 증가했다.


특히 원화이자율스왑 거래의 연간 청산 금액은 2014년 213조원에서 지난해 1280조원으로 연평균 약 24% 성장했다. 2022년부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로 원화이자율스왑을 통한 헤지 거래가 크게 증가했으며 이 중 만기 1년 이하 거래의 청산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말 기준 은행·증권·보험·자산운용사 등 총 64개 사가 청산에 참여 중이다. 2014년 청산 도입 초기에는 국내은행의 비중이 높았으나 2016년 이후에는 외국계 은행과 증권사가 청산을 주도했다.


외국계 은행의 경우 거래소가 외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격CCP 인증을 취득한 이후 청산 참여가 증가했다.


증권사의 경우 CCP청산을 계기로 낮은 신용도 문제가 해소돼 청산 참여가 지속 확대된 가운데 지난해는 금리 역전에 따른 헤지 거래로 인해 가장 높은 청산거래비중(46%)을 기록했다.


한편 장기물 거래 비중이 높은 보험사의 경우 2022년 이후 금리상승에 따른 헤지 수요로 인해 청산 규모가 증가했다.


아울러 거래소는 청산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2015년 11월 원화이자율스왑 명세를 확대하고 2016년 12월 달러이자율스왑 청산을 개시하는 등 청산 상품 다변화를 도모했다.


2022년 6월에는 거래 축약 서비스를 도입해 청산 참가자의 리스크관리 효율성과 편의성을 제고했다. 거래 축약 서비스란 장외파생 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양자간 또는 다자간 거래조정을 통해 계약 수와 명목 대금을 감소시키는 제도다.


또한 거래소는 주요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격 CCP 자격을 취득해 외국계 금융기관의 참여를 촉진하고 국제적 수준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CCP로 발전했다. 2016년 8월 최대손실금액(VaR) 기반 증거금제도 도입, 2018년 장외파생공동기금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리스크 관리 체계를 고도화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앞으로 이자율스왑의 청산 명세를 넓히고 외환파생상품 등으로 청산 대상 상품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장외파생상품시장의 안정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국 및 스위스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격 CCP 인증을 취득하고 리스크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선진 CCP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