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년 연속 흑자 행진… 한국석유공사, 작년 당기순이익 1788억원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유가하락·금리인상 대회여건 악화에도 이익 실현

3년간 1조7577억원 차입금 감축 재무구조 개선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가 지난해 당기순이익 1788억원을 달성해 2년 연속 흑자 행진을 이었다.


석유공사는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매출 3조2671억원, 영업이익은 8465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알렸다.


2022년 12년 만에 첫 흑자 전환에 성공한 공사는 지난해에도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경영 기조를 이어갔다.


작년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전년보다 각각 17%(Brent유 기준), 61% 하락했고 또 세계 각국에서 높은 인플레이션과 고금리가 지속되는 등 대외 경영 여건이 악화됐는데도 불구하고 핵심자산의 효율적 운영과 생산원가 절감, 비용 최소화 등을 통해 당기순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공사는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의 조기 도출과 선제 대응의 CEO 경영원칙에 따라 ‘재정건전화위원회’와 ‘경영성과 극대화 TF’를 운영했다.


이런 시도를 통해 과감한 비용 절감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 가동, 석유개발 및 비축자산의 수익 증대, 비핵심 자산 매각?디지털 전환 등을 통한 경영 효율화, 효율적 자금 운영 및 차입금 감축 등 재무성과를 올리기 위해 노력했다.


석유개발 부문에서 기존 생산광구와 연계한 인근지역의 탐사?개발을 통해 리스크와 비용을 낮추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했다.


작년에 석유공사의 자회사인 영국 다나社는 톨마운트 메인과 연계해 톨마운트 이스트 개발을 완료하고 조기 생산을 개시했으며 인근 언(Earn) 구조에서는 탐사시추로 가스 발견에 성공했다. 또 미국 이글포드 사업에서는 1000만배럴의 추가 매장량을 확보해 자산가치를 증대했다.


이밖에 유가 하락에 따른 컨틴전시 플랜 가동으로 예산통제를 강화하고 운영비를 절감하는 등 이익 개선을 위한 전사적 노력을 펼쳤다.


석유공사는 글로벌 자금관리 최적화와 적극적인 투자회수 등을 통해 2023년에 3688억원의 차입금을 감축했다. 최근 3년간 연속으로 차입금을 감축하게 됐고 이 기간 감축한 차입금 누적액은 1조7577억원에 달한다.


차입금 감축으로 석유공사는 재무구조 개선뿐만 아니라 고금리 상황에서 향후 연간 915억원의 이자비용 절감과 당기순이익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석유공사 김동섭 사장은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 전 구성원의 노력과 업무혁신을 통해 2년 연속 당기순이익 달성을 이뤄냈다”며, “재도약의 토대가 마련돼 지속적인 사업역량 강화와 경영 효율화로 재무 건전성을 높여 국민의 신뢰를 받는 공기업이 되겠다”고 힘줬다.

2년 연속 흑자 행진… 한국석유공사, 작년 당기순이익 1788억원 한국석유공사.
AD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