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설업 반등에 1월 산업생산 석달연속 늘어(상보)

시계아이콘00분 4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통계청 산업활동동향…반도체 생산 8.6%↓

올 1월 산업생산이 건설업 반등에 힘입어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올 1월 전산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0.4% 증가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0.3%, 0.4% 늘어난 데 이어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1.3%)에서 줄었으나, 건설업(12.4%)과 서비스업(0.1%)에서 늘었다. 광공업 중 통신·방송장비(46.8%)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8.6%)와 기계장비(-11.2%)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반도체 생산은 작년 11월(9.8%)과 12월(3.6%)로 2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다가 1월 -8.6%로 석 달 만에 감소했다. 반도체 생산 감소 전환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12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0.4% 증가했고, 평균가동률은 72.0%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 반등에 1월 산업생산 석달연속 늘어(상보) 대전 나노종합기술원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 청정실에서 연구원이 MPW테스트칩을 선보이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부족 현상이 내년 중반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 생태계 고도화 전략을 쳐고 있는 군내 산업계도 이 같은 흐름의 영향을 받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세계 각국의 대응책도 속속 나오고 있다. 우리 정부도 반도체 생태계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K-반도체 전략보고'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종합반도체 강국으로의 도약을 전망하고 대대적인 투자와 세제 혜택을 통해 반도체의 국산화를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코로나19를 통해 K-방역을 이뤄낸 대한민국이 세계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당당히 K-반도체의 선전을 기대해본다./대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소매판매 역시 전월 대비 0.8% 증가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1.4%,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1.0% 줄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2.3% 늘면서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3.4%)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12.4%)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5.6% 감소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3.8%)에서 수주가 늘었으나, 민간(-3.7%)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2.7% 감소했다. 건설수주는 주택 등 건축(-47.7%)과 기계설치 등 토목(-60.0%)에서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53.6%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7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3으로 전월과 같았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