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임차인이 계약갱신을 요구했을 때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하도록 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계약갱신청구권 조항과 계약갱신 시 차임이나 보증금 증액청구의 상한을 제한하는 조항 등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
헌재는 28일 주택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을 규정한 주택임대차보호법 6조의3 등 관련 조항들에 대한 헌법소원심판 청구 사건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합헌 결정했다.
이날 헌재는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를 할 경우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하도록 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1항, 3항 본문과, 임대인이 실제 거주를 이유로 갱신을 거절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제3자에게 임대한 경우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시키는 같은 조 5항, 6항, 차임증액한도 조항(제3항 단서 중 제7조 2항에 관한 부분), 월차임전환 시 산정률을 제한하는 제7조의2, 부칙 2조에 대해 모두 합헌 결정을 내렸다.
다만 헌재는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 해설 중 '개정 관련 FAQ' 부분 발간·배포행위에 대한 헌법소원은 각하했다.
재판부는 "이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개정으로 신설, 변경된 제도를 국민들에게 안내하고 이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이 같은 법률해석과 안내에 구속력이 있다거나 청구인들의 법적 지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어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 공권력의 행사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이 부분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다"고 이유를 밝혔다.
2020년 7월 31일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으로 이들 조항이 신설됐고, 개정법 시행 이후인 2020년 8월 28일 개정 주택임대차보호법 해설집이 발간됐다. 해설집 FAQ 부분에는 개정 법률 시행 전에 임대차계약의 연장 합의가 있더라도 개정 법률에 따라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가 가능하다는 해석 등이 기재돼 있었다.
국내에 주택을 소유한 임대인 또는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청구인들은 해당 조항들과 해설집 중 '개정 관련 FAQ' 부분 발간·배포행위가 자신들의 기본권을 침해하거나 헌법에 위반된다고 주장하며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헌재는 "임차인의 주거 안정 보장이라는 입법목적이 정당하고 임차인의 주거 이동률을 낮추고 차임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단의 적합성도 인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주거 안정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국가는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을 보호하고 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지므로 공익이 크다"며 "반면 임대인의 계약의 자유와 재산권에 대한 제한은 비교적 단기간 이뤄져 제한 정도가 크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헌재는 계약갱신청구권에 대해서는 "임대인의 사용·수익권을 전면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임대인이 거절할 수 있는 사유를 규정해 기본권 제한을 완화하는 입법적 장치도 마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과 횟수가 제한되고 갱신되는 계약의 존속 기간도 2년으로 규정돼 임대인의 재산권 침해 정도가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임대인이 갱신 요구를 거절한 뒤 정당한 사유 없이 제3자에게 주택을 임대할 경우 세입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규정한 조항도 "임대인의 계약의 자유나 재산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전월세상한제에 대해서는 "차임 증액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계약갱신요구권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규제"라며 "(인상률 제한인) 20분의 1 비율이 지나치게 낮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밖에 월세와 전세 보증금의 전환율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것은 "전문적이고 정책적인 고려가 요구된다"며 타당하다고 봤다.
개정법 시행 당시 존속 중인 임대차 계약에도 개정 조항을 적용하도록 한 부칙 2조에 대해서도 "사적인 계약 관계를 규율하는 법률은 사회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새로운 법적 규율을 가하게 되는 게 일반적"이라며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6조의3은 세입자가 임대인(집주인)에게 2년의 계약 연장을 요구할 수 있고 임대인은 실거주 등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를 거부할 수 없다고 정한다.
같은 법 7조 2항은 계약 당사자가 차임이나 보증금 증액을 요구할 때 인상률을 5% 이내로 제한한다.
이 조항들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 세입자를 더 두텁게 보호한다는 취지로 전월세신고제와 함께 '임대차 3법'이라는 이름으로 도입됐다.
그러나 오히려 전세 시장의 혼란과 대규모 전세사기 속출을 초래했다며 폐지론이 불거지기도 했다.
최석진 법조전문기자 csj040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