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경제체제 허점 인정…부분개혁 돌입
물가 폭등·경제난에 해외이주도 늘어
지난 14일 우리나라의 193번째 수교국이 된 쿠바는 '체 게바라'와 '피델 카스트로'의 좌파 혁명지로 유명한 카리브해의 섬나라다. 국내에서는 반세기 넘는 세월 동안 '북한의 형제국'이자 중남미 지역 국가 중 유일하게 수교하지 않은 국가로 꼽혀 왔다.
쿠바의 국토 면적은 11만㎢로 한국과 비슷하다. 카리브해에서 가장 큰 도서국이기도 하다. 북쪽 미국 플로리다와의 최단 거리는 160㎞ 정도, 서쪽의 멕시코 캉쿤까지는 200㎞ 정도다. 동쪽으로는 아이티, 남쪽으로는 자메이카가 있다. 인구는 지난해 기준 1100만명을 웃돌며, 전체 인구의 약 65%가 백인이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22년 기준 2280달러다.
쿠바는 스페인이 중남미 지역 대부분을 식민지로 지배하던 시기, 국제무역의 주 교역품이었던 설탕을 가장 많이 생각하는 나라로 성장하면서 관련 산업이 크게 번성했다. 1898년 독립했지만,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의 직·간접적인 통제를 받으며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미국의 '설탕 창고'로 불렸다. 친미 성향의 바티스타 군부 정권이 통치했던 1958년까지 대표적인 친미·친서방 성향의 국가로 분류됐다.
하지만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주도한 사회주의 혁명이 성공한 뒤에는 강력한 반미 공산국가로 변했다. 이후 우리나라와의 교류는 단절됐다. 공산국가가 된 쿠바는 1960년 북한과 수교를 맺고 특수관계를 유지해 왔다. 북한을 방문한 카스트로는 "하나의 조선만 있을 뿐"이라며 김일성을 지지하기도 했다. 1962년 10월 구소련이 쿠바에 핵탄도미사일을 배치하려 했을 당시 미국과 소련이 핵전쟁 발발 직전까지 갔을 정도로 쿠바는 한때 미국 안보의 주요한 위협지역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쿠바는 1988년 서울올림픽에 불참하며 노골적으로 북한 편을 들었다. 반세기 동안 북한과 함께 반미(反美) 기치를 내걸며 '형제 국가'로 지냈지만, 김정일 일가와 유대가 돈독했던 카스트로 형제의 통치가 종식된 후엔 북한과 쿠바의 관계가 예전 같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반면 우리 정부는 2000년부터 쿠바에 직접 수교를 제안하는 등 쿠바와의 경제·문화 교류를 늘려왔다.
공기업의 독과점 형태 수입, 식료품 저가 배급제, 관료주의 등은 현재까지도 이어지는 쿠바의 사회 시스템이다. 2016년 피델 카스트로가 사망한 뒤 후계자인 라울이 2021년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결함을 인정하며 부분적인 노선 전환에 나섰고, 이어 후임 미겔 디아스카넬 대통령은 대부분의 산업에 민간 참여를 허용하는 등 부분적 개혁에 돌입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과 미국의 경제 제재 등으로 국민들은 물가 폭등, 식량난, 에너지 부족 등에 시달리며 경제 상황이 악화했다. 주된 외화 수입원이던 관광 산업도 코로나 이후 큰 타격을 받았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쿠바의 경제 성장률은 2020년 -10.9%를 기록한 이후 2021년과 2022년엔 0∼1% 안팎에 머물렀다. 2021년 152%까지 치솟은 물가 상승률은 2022년과 지난해에도 76.1%, 62.3%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2021년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거세에 일어났고, 미국과 멕시코로의 이주 행렬도 급증했다. 2022년 쿠바 국민 20만명 이상이 육로를 통해, 1만명 가까이가 해로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 국경 지대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과 여전히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한국과 수교에 나선 데는 이같은 경제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까지 쿠바를 찾은 한국인 수는 연간 약 1만4000명이었다. 쿠바와의 교역은 지난 2022년 기준으로 수출이 1400만달러, 수입은 700만달러 규모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