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의원, 국세청 자료 분석
근로소득자 2000만 명 돌파
상위 1% 평균 연봉 3억3100만 원…"편중 심화"
월급생활자 상위 0.1%의 평균 연봉이 1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나라 근로소득자의 평균 연봉이 4200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세청이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귀속 근로소득자 중 상위 0.1% 구간에 속한 2만539명의 총급여는 20조2900억원으로, 1인당 9억8800만원이었다.
상위 1% 근로소득자(20만5400명)의 평균 소득은 3억3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근로자(2054만명)의 1인당 평균 연봉은 4214만원으로 전년(4024만원)보다 약 200만원 늘었다.
부의 편중은 더 심화하는 추세다. 근로소득이 높을수록 소득이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2022년 상위 0.1% 구간 소득이 전체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로 2018년(2.1%)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상위 1% 구간 소득 비중 역시 같은 기간 7.3%에서 7.9%로 커졌다.
각종 공제 등을 통해 세금을 내지 않는 근로소득 면세자 비중은 2022년 34.0%로 2014년(48.1%) 이후 꾸준히 하락세다. 반면 상위 1% 구간의 면세자는 250명으로 전년(215명)보다 늘어났다.
진선미 의원은 “근로소득자가 2000만명을 넘어섰지만 부의 집중도 문제는 여전하다”며 “사회 이동성을 제고하는 개선책의 바탕을 근로소득 향상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직장인 상위 0.1%의 연봉을 비교한 결과 지역별 격차가 심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현황'을 보면, 서울(평균 14억원)이 강원(평균 4억6268억원)보다 3배가량 많았다. 동일 지역 내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 격차가 가장 심한 곳도 서울이었다.
상위 0.1%의 총급여가 가장 낮은 곳은 강원(463명)으로 4억6268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서울보다 3배가량 적은 수준이다. 세종(4억7223만원·166명), 전북(5억374만원·536명)도 서울의 3분의 1 정도에 그쳤다.
부산(15.5배)과 경기(14.6배)도 격차가 심했다. 반면 소득 격차가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9.6배 차이를 보였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