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중국, 이란, 주요 신흥국과 경제·외교 관계를 강화하면서 미국 중심의 국제 금융시스템에 도전하고 있다고 27일 워싱턴포스트(WP)가 진단했다. 러시아가 서방의 영향력을 약화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WP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러시아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이러한 분석의 근거로 내세웠다. 실제 러시아가 서방 지원을 받는 우크라이나의 반격을 막아내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우크라이나 추가 지원은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미국은 대규모 인명 피해를 낳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침공을 지지하면서 국제 무대에서 자신의 입지를 훼손했다는 것이 러시아의 판단이다.
러시아 당국자들은 중국과의 교역 증가, 이란과의 군사 협력, 아랍권에 대한 외교적 지원,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 경제 5개국) 회원국 확대 등을 러시아의 입지 강화 사례로 꼽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하마스와 이를 지원하는 이란의 대표단을 러시아로 초청했다. 푸틴 대통령은 같은 해 12월에는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했다.
올해 유럽에서 많은 선거가 치러지는 가운데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 지원이 더 줄어들도록 러시아가 '정보 작전'을 벌일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