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도급대금 늑장 지급 1위는 한국타이어

시계아이콘01분 0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공정위, 하도급대금 결제조건 공시점검
80개 집단 1210개 회사 대상
한타·금호석화 현금·현금성 결제비율 낮아
한국지엠, 30일 이내 대금 지급 0%

대기업 집단 중 하도급 대금 지금 기한을 가장 자주 넘기는 회사는 한국타이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DN과 하이트진로, 부영 등은 하도급대금 현금 지급 비율이 30%를 밑돌았다.


2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상반기 하도급대금 결제조건 공시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공정위가 전체 80개 집단, 121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한 결과 지난해 상반기 하도급대금 현금결제비율은 평균 84.02%로 나타났다.


현금과 수표, 만기 60일 이하의 상생 결제·어음대체결제수단까지 포함한 현금성 결제 비율은 평균 97.2%로 집계돼 현금·현금성 결제비율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하도급대금 늑장 지급 1위는 한국타이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기업집단별로 보면 한진, 카카오, 네이버, 에쓰오일, 장금상선 등 23개 집단은 하도급대금을 100% 현금으로 결제했다.


반면 DN(6.8%), 하이트진로(27.2%), 부영(27.4%) 등은 현금결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현금성 결제 비율이 낮은 곳은 금호석유화학(54.6%), 아이에스지주(68.2%), 셀트리온(72.4%), 반도홀딩스(74.56%) 등이었다.


하도급대금 지급 기간은 10일 이내가 47.7%로 가장 많았고 11∼15일이 20.4%, 16∼30일이 19.0%였다. 하도급법상 규정된 지급 기한인 60일을 초과한 경우는 0.4%였다.


10일 이내 지급비율은 LG(87.93%), 한국항공우주산업(82.59%), KT&G(81.70%) 순으로, 15일 이내 지급비율은 호반건설(99.12%), LG(93.84%), 두산(93.3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60일을 초과한 대금 지급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한국타이어(17.1%)였고, 다음은 LS(8.6%), 글로벌세아(3.6%) 순이었다.


한국지엠은 30일 이내에 하도급대금을 지급한 비율이 0%였다. 모든 대금을 목적물 수령일로부터 30일 이상 지난 뒤 지급했다는 의미다.


하도급대금 관련 분쟁 해결을 담당할 분쟁조정기구를 설치한 원사업자는 전체 사업자 중 3%(98개)에 그쳤다. 기업집단별로 삼성(14개), 아모레퍼시픽(9개), 현대백화점(9개), 롯데(6개), 현대자동차(6개) 등이 분쟁조정기구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대상기업집단의 하도급대금 결제조건 공시의무는 2022년 하도급법 개정으로 처음 생겼다. 이번 결제조건 공시는 제도 도입 이후 첫 시행 사례다. 공시 대상 원사업자는 매 반기별로 지급 수단별 지급 금액과 지급 기간별 지급 금액, 분쟁조정기구 관련 사항 등을 공시해야 한다.


공정위는 공시 기한을 넘겨 지연공시한 티알엔·티시스·HD현대사이트솔루션 등 7개 사업자에 대해 과태료 25만∼100만원을 각각 부과했다. 공시내용 중 단순 누락이나 오기가 발견된 95개 사업자에 대해서는 정정 공시를 안내했다.



공정위는 "하도급대금 공시제도가 신속히 안착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홍보를 지속하고, 이행 여부를 지속해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