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업통상자원부, 전국 최초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지정 고시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창원특례시, ICT산업의 수출활로 열려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 최초의 ICT기업, 첨단제조업 집적공간인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 고시했다.


마산해양신도시 내 공공 개발구역에 3만3089㎡ 규모로 지정된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은 기존 제조업 위주의 산단형 자유무역지역의 형태를 벗어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D.N.A(Data. Network. A.I) 기업이 집적화된 자유무역지역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전국 최초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지정 고시 경남 창원특례시청. [사진=이세령 기자]
AD

경남 창원특례시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내 D.N.A.기업입주 공간인 D.N.A.혁신타운 건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D.N.A.혁신타운은 20층 규모의 기업입주시설, 12층 규모의 지원시설로 총 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부의 지정고시에 맞춰 시는 D.N.A.혁신타운 건축을 위한 국비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내년까지 총사업비 3860억원 중 2900억 원의 국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D.N.A.혁신타운은 다른 자유무역지역과 마찬가지로 공시지가의 1%에 해당하는 저렴한 임대료로 운영되며 자유로운 무역 활동을 보장받을 수 있어, 시는 ICT산업의 스타트업, 지역 강소기업의 수출활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지정 고시와 함께 국가산업단지 50주년, 마산자유무역지역 국가산단 지정, 창원국가산단 2.0 사업 등 기존 제조업과 D.N.A.산업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산업체계 구축의 청사진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존의 마산자유무역지역(봉암동 소재)은 윤한홍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자유무역지역법’개정(안)이 지난 1월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확정 지었다.


D.N.A.혁신타운 건축 사업 기간은 2024년∼2027년 총 4년이고 사업비는 총 3860억 원으로 국비 2900억원, 지방비 96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조성되면 생산액 약 5412억 원, 부가가치 약 2264억 원, 고용인원 3441명 등의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시는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경남도와 협력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홍남표 창원특례시장은 “전국 최초의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은 우리 시의 뿌리산업인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의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이다”면서 “D.N.A.산업 활성화를 위해 외국계 기업과 그와 연계된 국내 IT 기업, 스타트업 등 젊은 기업과 인재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