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흑연 수출통제' 나선 中, 韓 배터리업체엔 수출 허가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미중관계 따른 불확실성 여전

중국 정부가 지난해 배터리 음극재 핵심 소재 흑연의 수출 통제에 나선 가운데 한국 주요 배터리 기업으로의 흑연 수출은 허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배터리 소재업체 포스코퓨처엠으로 공급될 음극재 제조용 구상흑연의 수출을 승인했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 기업으로, 천연흑연 기반 음극재를 세종 공장에서 양산 중이다.


중국 정부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완제품을 만드는 한국 배터리 3사로의 흑연 음극재 완제품 수출도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군사 용도 전용을 막겠다는 명분을 앞세워 지난해 12월 1일부터 기존 수출 통제 대상이던 인조흑연에 더해 이차전지 음극재용 고순도 천연흑연 등을 새로 통제 대상에 올렸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8월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 통제에 나선 바 있는데, 이 직후 '심사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2022년 기준 2억4100만달러 상당의 이차전지 음극재용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을 수입했다. 이 중 93.7%가 중국에서 들여올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11월 미중 양국 정상이 '양국 관계 안정화'를 강조했고, 한중 양국 역시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가고 있어 중국이 당장 '수출 불허' 카드를 꺼내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중국 상무부가 지난 11월 베이징에서 한국 기업만 불러 자국 수출 통제 정책 집행 방향을 설명한 것을 놓고 중국이 한국에 우호적 제스처를 보였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다만 중국이 수출 통제를 앞세워 핵심 광물자원을 무기화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만큼 향후 국제 정세 변화 등에 따라 '수출 제한'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한국무역협회는 작년 10월 보고서에서 "중국의 수출 통제는 미국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해석되는 만큼 향후 미중 관계가 악화할 경우 미국에 공장을 둔 우리 배터리 기업으로의 수출 허가가 지연·반려될 가능성도 있다"며 "흑연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개발해 공급망 리스크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