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돌아온 신사임당, 5만원권 환수율 5년 만에 최대

시계아이콘00분 3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돌아온 신사임당, 5만원권 환수율 5년 만에 최대 아시아경제DB
AD


한국은행은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이 67.1%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기록했던 67.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상거래 회복에 따른 화폐 환수경로의 정상화와 금리상승으로 인한 예비용 화폐수요 감소 등이 영향을 끼쳤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4조~6조원 수준으로 감소했던 5만원권 환수금액은 2023년에는 14조1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코로나 기간 중 대면 상거래 제약 등으로 위축됐던 화폐유통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2022년부터 확대되기 시작했다.


한은은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돌아온 신사임당, 5만원권 환수율 5년 만에 최대 자료 : 한국은행

금리상승에 따른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수요 감소에도 영향을 받았다.


최근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보유의 기회비용 증가 등으로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수요가 줄어들면서 코로나19 기간중 대규모 순발행된 자금이 환수됐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고액권의 경우에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리상승 등의 영향으로 환수율이 상승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5만원권 환수율은 단기적으로는 시중금리 향방에 영향을 받는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비현금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