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관측 결과
전체 해수면은 34년간 10.3cm 상승
우리나라 해수면이 매년 평균 3.03mm씩 높아져, 지난 34년간 10.3cm가량 상승했다.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와 영향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 가운데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 수집자료를 통계화해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다.
1989년부터 2022년까지 34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44mm로 가장 높았고, 서해안(3.15mm)과 남해안(2.71mm)이 뒤를 이었다.
관측 지점별로 보면 울릉도가 가장 빠르게 잠겼다. 울릉도는 연 5.31mm씩, 지난 34년간 18cm 넘게 해수면이 상승했다. 이어 ▲군산(3.41mm) ▲포항(3.34mm) ▲보령(3.33mm) ▲속초(3.23mm) ▲위도(3.19mm)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해수면 상승 속도는 최근 더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점이다. 최근 10년(2013~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4.51mm)은 지난 30년(1993~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3.41mm)보다 1.3배나 높았다.
이렇게 해수면이 계속 높아지게 되면 태풍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침수와 같은 피해가 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김재철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장기 분석자료가 연안 관리 및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해수면 변동 분석 연구를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연평균 해수면 높이 자료는 내년 상반기 중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에 공지될 계획이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