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년도 제조·서비스업 中企 부진…한계기업도 증가 예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18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중기연, '2024년 경제전망과 중소기업 이슈' 발표

"내년도 제조·서비스업 中企 부진…한계기업도 증가 예상" 최세경 중소벤처기업연구원(KOSI) 정책컨설팅센터장.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연구원]
AD

내년도 제조·서비스업 중소기업 업황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둔화 지속으로 이자 갚을 여력이 되지 않는 한계 중소기업도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최세경 중소벤처기업연구원(KOSI) 정책컨설팅센터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2024년 경제전망과 중소기업 이슈'를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열린 제12차 KOSI 심포지엄은 대내외 거시경제와 정치·사회 환경 변화 등을 기반으로 2024년도 중소기업 주요 이슈 발굴과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센터장은 미국과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글로벌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 증가로 내년도 글로벌 경제가 더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 봤다. 한국경제는 수출과 설비투자 중심으로 2% 내외의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지만 가계 소비여력 감소와 인력부족, 고금리 지속 등 여러 위험요인이 산적해 중소기업 입장에선 상황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는 분석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온도차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최 센터장은 "제조 대기업은 업황 전망 심리가 다소 개선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부정적 심리가 커지는 추세"라며 "서비스업도 올해 하반기 이후부터 꺾여 내년도 제조·서비스업 중소기업 경기는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심화도 우려 요인이다. 최 센터장은 "대·중소기업 규모의 차이는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와 맞물려 대·중소기업 노동생산성 격차를 심화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 특성별 맞춤 정책으로 중소기업 생산성을 현재 수준보다 2배로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중소기업 부채 규모와 연체율 상승도 중소기업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고금리 장기화로 내년엔 한계 중소기업이 더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한계 중소기업은 금융비용 부담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해 외부 자금지원 없이는 회생이 어렵다는 얘기다. 최 센터장은 "코로나19 특별금융조치 종료와 고금리의 누적효과 등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사고금액도 가파르게 증가하는 등 소상공인 중심으로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감소로 혁신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최 센터장은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에서 내년도 중소기업 R&D 지원의 효과를 높이려면 정책 전달체계를 혁신해야 한다"라며 "중소기업도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사업을 획기적으로 전환하는 등 자체 혁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발표 후 이뤄진 종합토론에서는 최 센터장을 비롯해 노용환 서울여대 교수, 안성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실장, 임영주 중소기업중앙회 실장, 김준형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이 중소기업 경기 진작 방안을 논의했다. 오동윤 중기연 원장은 “내년도 한국 경제는 양극화 심화와 인구 감소, 노사·세대 갈등 등이 지속되며 저성장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디지털·글로벌화로 난관을 돌파하고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