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결혼 5년차 미만 열 집 중 세 집 "맞벌이에 자녀는 없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57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가
첫 출산 시기도 점점 늦어지는 추세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으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066쌍으로 28.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결혼 5년차 미만 열 집 중 세 집 "맞벌이에 자녀는 없어"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066쌍으로 28.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사진출처=연합뉴스]
AD

이어 맞벌이·유자녀 부부(23만2459쌍·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6531쌍·15.5%) 등의 순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은 2015년에는 21만2733쌍으로 18.0%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외벌이·유자녀 부부(40만9014쌍·34.7%)와 맞벌이·유자녀 부부(29만2826쌍·24.8%)보다 적었다.


그러나 딩크족 비중은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늘더니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딩크족 비중은 늘고, 외벌이 유자녀 비중 꾸준히 감소

반면 2015년에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다.


이 같은 현상은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가 늘고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한국의 사회 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포인트 높아졌다.

소득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
결혼 5년차 미만 열 집 중 세 집 "맞벌이에 자녀는 없어" 2015년에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시아경제]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이었다. 1000만∼3000만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 5000만∼7000만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 등이다.



자녀를 가져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다. 기간별로 보면 결혼 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 아이를 낳는 비중은 2012년 5.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5%로 2배 뛰었다. 결혼 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