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가
첫 출산 시기도 점점 늦어지는 추세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DINK, Double Income, No Kids)으로 다른 부부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066쌍으로 28.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맞벌이·유자녀 부부(23만2459쌍·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6531쌍·15.5%) 등의 순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은 2015년에는 21만2733쌍으로 18.0%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 외벌이·유자녀 부부(40만9014쌍·34.7%)와 맞벌이·유자녀 부부(29만2826쌍·24.8%)보다 적었다.
그러나 딩크족 비중은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늘더니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딩크족 비중은 늘고, 외벌이 유자녀 비중 꾸준히 감소
반면 2015년에 가장 흔한 신혼부부 유형이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 비중은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딩크족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다.
이 같은 현상은 여성의 경제 활동 참가가 늘고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한국의 사회 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16.4%포인트 높아졌다.
소득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다.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이었다. 1000만∼3000만원 미만은 0.71명, 3000만∼5000만원 미만은 0.72명, 5000만∼7000만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 등이다.
자녀를 가져도 출산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다. 기간별로 보면 결혼 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 아이를 낳는 비중은 2012년 5.3%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5%로 2배 뛰었다. 결혼 생활이 5년 미만인 신혼 때 자녀를 갖지 않은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