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립극장 이전 50주년' 세종의 노래로 뭉친 마당놀이 대가 3인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30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칸타타 ‘세종의 노래:월인천강지곡’
박범훈 작곡, 손진책 연출, 국수호 안무
313명이 한 무대에…내달 29∼31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코로나19가 심했던 2년 전, 박해진 시인으로부터 '월인천강지곡'의 노랫말을 받고 작곡을 약속했다. 세종대왕은 소헌왕후를 그렇게 사랑했지만, 월인천강지곡에는 사랑한다는 말이 없다. 하지만 작품 전체가 사랑이다. 시가 길어 시간이 오래 걸렸다. 내가 쓴 곡 중 가장 오랜 기간 고민해 탄생한 작품이다."

'국립극장 이전 50주년' 세종의 노래로 뭉친 마당놀이 대가 3인방 박인건 국립극장장이 28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 기념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 극장장, 박범훈 지휘자, 국수호 안무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한 작품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이 오는 12월 29~31일 해오름극장 무대에 오른다. 국악관현악 지휘자이자 작곡가 박범훈(75) 전 중앙대 총장은 28일 서울 중구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작품의 창작 배경을 설명하며 "국립극장 전속단체와 함께하는 작품이 되면서 새롭게 구성 전반을 수정하는 한편 편곡을 거듭했다"고 말했다.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은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과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총 313명의 출연진이 참여하는 대형 칸타타(교성곡)로, 박범훈 지휘자를 비롯해 연출가 손진책(76), 안무가 국수호(75)가 의기투합했다.


박인건 국립극장장은 간담회에서 "국립극장의 남산 이전 50주년을 맞아 화합과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며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은 국립극장의 새로운 도약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창·제작 역량을 쏟아부은 만큼, 이 작품이 50주년 기념행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국립극장의 레퍼토리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립극장은 1950년 서울 태평로 부민관(현 서울특별시의회 의사당) 자리에 창립된 이래 대구·명동을 거쳐 1973년 10월 17일 남산 장충동에 터를 잡아 오늘에 이른다. 안정적 공연장과 연습 공간을 마련하면서 분야별 국립예술단체의 태동과 완성도 높은 공연예술 작품의 탄생을 이끌었다.


'국립극장 이전 50주년' 세종의 노래로 뭉친 마당놀이 대가 3인방 28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 기념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 기자간담회에서 박범훈 지휘자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작품 소재인 ‘월인천강지곡’은 천 개의 강에 비추는 것 같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으로 세종이 먼저 세상을 떠난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든 찬불가다. 훈민정음 창제 직후인 1447년 활자로 간행되며 백성에게 한글을 보급하기 위한 교보재로도 활용됐다. 공연에서는 박해진 시인이 현대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쉬운 노랫말로 고쳐 사용했다.


주인공인 세존(석가모니의 다른 이름)과 소헌왕후 역에는 국립창극단의 김준수와 이소연이 캐스팅됐다. 세종역의 김수인과 함께 유태평양, 민은경 등 창극단의 주역 배우들이 다양한 인물을 맡아 무대에 오른다. 국립무용단은 30여명의 단원이 우아하면서도 역동적인 움직임을 선보이며 관객의 몰입을 높일 예정이다.


기악은 국악기 위주로 편성하면서 동시에 부족한 부분은 서양 악기로 채워 풍성한 선율을 완성했다. 가야금·거문고·대금·피리·해금·태평소 등으로 구성된 63명의 국악관현악단과 바이올린·비올라·콘트라베이스·트럼펫·호른 등이 참여한 34명의 서양 오케스트라, 여기에 합창단 174명이 만나 동서양 경계를 넘어선 조화로운 음악을 완성한다.

'국립극장 이전 50주년' 세종의 노래로 뭉친 마당놀이 대가 3인방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 기념 공연 ‘세종의 노래:월인천강지곡’ 연습실 전경. 출연자가 313명에 이르는 초대형 공연이다. [사진제공 = 국립극장]

국수호 안무가는 "1973년 3월 1일 국립극장이 이전 개관했는데, 그때 제가 군 제대 후 국립무용단의 1호 남자무용수였다"며 "손진책 연출, 박범훈 작곡가와는 그때도 친구, 지금도 친구로 국립극장에서 함께 활동하고 마당놀이를 개척한 예술적 동지들과 50주년 기념공연 대작의 안무를 맡게 돼 감개무량하다"고 말했다.



이날 독감으로 간담회에 불참한 손진책 연출가는 국립극장을 통해 “월인천강지곡에 녹아든 군주로서의 외로움과 지아비로서의 순정, 한글이 백성에게 전파되길 바라는 세종의 애민 정신에 주목해 ‘사랑’과 ‘화합’에 연출 초점을 맞췄다”며 “600여 년 전 노래가 동시대 관객에게도 와 닿을 수 있도록 총체성을 띤 무대로 소리와 음악을 신선하게 시각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