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파트 같은 단지 내 전세가격 차이 줄어…"전셋값 약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같은 단지 안에서도 가격이 크게 벌어지는 이른바 '이중가격' 현상이 잦아들고 있다. 전셋값 약세와 역전세 등의 영향으로 신규 전세계약 보증금이 낮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아파트 같은 단지 내 전세가격 차이 줄어…"전셋값 약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29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2020년 이후 반기별로 전셋값을 비교한 결과, 보증금 최고가와 최저가 격차는 임대차법 시행 이후인 2020년 하반기부터 확대되기 시작해 2021년 하반기(1억3345만원) 정점을 찍었다. 이후 점차 줄어들면서 올해 상반기 8065만원까지 축소됐다.


아파트 같은 단지 내 전세가격 차이 줄어…"전셋값 약세" [이미지제공=부동산R114]

이중가격 현상이 완화된 이유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약세 장기화로 신규 보증금이 갱신 수준으로 하향 평준화됐기 때문이다. 서울 동일단지·면적에서 전세 계약이 1건 이상 발생한 사례를 보면 신규계약 보증금은 2021년 하반기 6억6159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5억2453만원으로 1억3000만원가량 낮아졌다. 반면 신규계약을 제외한 전세 보증금은 평균 5억원 중반대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 신규계약 보증금은 올해 상반기까지 하락세를 보였지만, 지난달 이후 전셋값이 상승 반전한 데다, 새로운 전세 수요가 아파트로 꾸준히 유입되면서 예전 수준을 서서히 회복할 것”이라며 “전셋값이 상승으로 추세 전환하면서 이중가격 이슈는 재차 불거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