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3>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3>
AD
편집자주붓다의 제자 수보리가 묻는다. "세존이시여!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남자 선여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어떤 마음으로 살아야 좋은지를 묻는, 만고불멸의 질문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까지 이어진 문답에서 드러나는 붓다의 답은 '나라는 관념을 내려놓고 집착에서 벗어나라'는 것이다. 모든 것이 무상하고 변화하니 그 무엇도 고정된 실체를 갖고 존재하지 않는데, 어째서 '나'라는 것에 집착하며 고통을 받느냐고 말한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을 따라 쓰는 세 번째 시간, 오늘은 <금강경>에 담긴 '무아설(無我說)'에 대한 설명이다. 글자 수 1058자.

세상의 모든 것이 영원히 존재한다고 보는 것은 상견(常見)입니다. 반대로 소멸하여 사라진다고 보는 것은 단견(斷見)입니다. 두 가지는 모두 양극단에 치우쳐 있습니다. 있다고 생각하면 상견에 치우친 것이고, 없다고 생각하면 단견에 치우친 것입니다. 모든 생각과 관념을 타파한다고 해서 어떤 법도 없다는 견해를 일으킨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관념이 됩니다. 실체의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전히 그 사유의 틀 안에서 맴돌고 있습니다.


무아설의 경우 그것을 문자 그대로 '내가 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단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무아설'이라는 도그마로 작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자아가 영원히 존재한다는 상주론자의 견해가 잘못이듯이, 자아는 없다고 해석하는 단멸론자의 견해 역시 올바르지 않습니다.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 것은 여전히 언어적 분별에 갇혀 있다는 증거입니다. 토끼에게 뿔은 본래 존재하지 않습니다. 토끼에게 뿔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무아설의 의미는 '있음'에 대한 대척점으로서 '없음'을 밝히려는 것이 아니라, '있음'과 '없음'의 분별을 벗어나야 한다는 것에 초점이 있습니다.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3>

현실 세계에서 눈으로 보고 소리를 듣는 '나'를 부정할 수 없습니다. 일상의 경험적 자아가 없다고 말하려는 것이 무아설의 의도는 아닙니다. <금강경>에서도 부처님은 '내가 보살이었을 때…' '내가 설한 것은…'과 같이 자신을 표현합니다.


이 점에서 무아설은 자아의 유무를 따지는 형이상학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간의 고통을 소멸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거짓된 자아의 관념을 걷어내는 일이 급선무입니다. 자아의 완고한 틀은 좀처럼 깨지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하는 충격요법을 썼습니다만, 불교의 바른 견해는 한 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에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자아는 우리의 생각과 같이 실재하는 것이 아니지만, 완전히 없는 것도 아닙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내 안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자아를 상정하고 그것에 집착하는 우리의 생각과 관념입니다. 이름일 뿐인 자아의 개념을 실체화하고 '나'라는 고정된 관념 속에 스스로 갇히는 일을 말합니다.



-김성옥, <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 불광출판사, 1만6000원

[하루천자]인문학 독자를 위한 금강경<3>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