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가정밖 청소년 '쉼터·자립지원관' 대폭 확대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기도, 가정밖 청소년 '쉼터·자립지원관'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말 개최된 경기도 위기청소년 물품 전달식
AD

경기도가 '가정 밖 청소년'이 위기에 처하지 않고 신속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쉼터와 자립지원관을 확대한다.


가정 밖 청소년은 가족 간의 갈등과 가족 해체 등으로 가정을 이탈한 청소년으로, 이들을 보호하는 시설은 청소년쉼터와 청소년자립지원관이 대표적이다.


청소년쉼터는 가정 밖 청소년이 집처럼 거주하며 학업 또는 취업 활동을 이어 갈 수 있는 곳이다. 청소년자립지원관은 독립생활 중인 가정 밖 청소년에게 월세, 취업, 건강, 심리상담 등을 지원해 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도내에는 32개 청소년쉼터에 260여명의 청소년이 거주하고 있다. 또 3개 청소년자립지원관은 쉼터 퇴소 청소년 90여명의 자립기반 확립을 위해 주거와 생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청소년쉼터에서 일정 기간 거주한 청소년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주택토지공사(GH)를 통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다. 경기도에는 현재 39명의 청소년이 거주하고 있다. 도는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지 못한 청소년도 안정적인 주거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월세, 이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가정 밖 청소년이 사회에서 자립하기 위해 주거만큼 중요한 것이 취업이다. 도는 가정 밖 청소년이 취업을 통해 안정적 자립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교육비, 교재비 등도 지원한다. 장기교육 참여시에 긴급 생계비를 지급해 생계 걱정없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기업과 협력해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해 청소년들에게 직장생활을 경험하고 정규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올해 2월에는 KT와 연계해 KT그룹 3개 자회사에 7명의 청소년이 취업, 인턴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


도는 최근에는 청소년쉼터 1곳당 1500만원, 도 자립지원관 2곳에 각 5800만원을 편성해 가정 밖 청소년들이 학업, 심리상담, 주거, 취업 등 일상생활에 부족함이 없도록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도는 쉼터와 자립지원관 외에 청소년의 자립생활에 중요한 목돈 마련과 경제적 여건 개선을 위해 '자립두배통장' 사업도 지난해 도입했다.


자립두배통장은 최대 6년 간 청소년 본인 저축액의 2배(월 최대 20만원)를 추가로 적립 지원해 창업, 전세자금, 결혼 등 큰 돈이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현재 130여명의 청소년이 자립두배통장에 참여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 추가로 참여 청소년을 모집한다.


도는 나아가 타 시도와 차별화된 청소년쉼터 1곳당 1500만원, 도 자립지원관 2곳에 각 5800만원을 편성해 가정 밖 청소년들이 학업, 심리상담, 주거, 취업 등 일상생활에 부족함이 없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김향숙 경기도 평생교육국장은 "가정 밖 청소년들이 스스로 집에 돌아가기 기다리는 것은 방임에 가깝다"며 "가정에서 부모의 지원을 받는 것이 최선이지만,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은 국가와 지자체가 부모의 마음으로 사회에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