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테슬라발 치킨게임에 삼성전기 시장 확대 기회 '활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테슬라가 전기차 가격인하 경쟁을 주도하면서 전장용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삼성전기에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가 열렸다.


16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삼성전기의 전장용 MLCC 생산량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4%에서 올해 13%로 급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업계 1위인 일본 무라타는 올해 41%로 3%포인트 내려가고, 2~3위인 TDK와 다이요 유덴도 각각 4%포인트, 5%포인트 꺾인 16%, 13%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기 점유율이 13%로 뛰어오르면 업계 경쟁에 지각변동이 생긴다. 작년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는 일본 무라타(44%)였다. 다음은 일본 TDK(20%), 일본 다이요 유덴(18%), 대만 야게오(9%), 한국 삼성전기(4%) 순이었다. 하지만 올해 삼성전기는 5배 가량 차이 났던 일본 기업들과의 점유율이 비슷해지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발 치킨게임에 삼성전기 시장 확대 기회 '활짝'
AD

기회를 열어준 건 테슬라가 쏘아 올린 전기차 가격인하 경쟁이다.


테슬라가 차량 가격 인하에 나서면서 다른 전기차 업체들도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인하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가격 인하 경쟁은 전기차 판매를 촉진시키고, 전기차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MLCC 주문량은 늘어난다. MLCC는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도와주는 부품으로 휴대폰, PC, 전기차 등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쓰여 '전자산업의 쌀'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전기차에는 1만5000~2만개의 MLCC가 들어간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1000~1200개의 10배가 넘는 수준이다.


트렌드포스는 MLCC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들의 올해 전장용 MLCC 생산량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IT용 부품 수요가 급감하자 MLCC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전장 사업에서 기회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업계 선두인 무라타는 전장용 MLCC의 생산량을 연간 10%씩 늘리는 계획을 세웠고 중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중국에 450억엔을 투입해 신공장을 짓고 있다. TDK 역시 이와테현 공장을 확장해 2024년 9월부터 월 50억~80억개의 MLCC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


삼성전기도 주력 제품인 MLCC 라인업에서 전장용을 강화하고 신규 거래선을 뚫는 시장 확대 전략을 갖고 있다. 성장성이 높은 글로벌 전기차 거래선, 유럽 거래선 판촉을 강화하고 신규 거래선 발굴을 지속해 시장을 상회하는 매출 성장을 이어가겠다는 각오다.


다만 전기차 가격 인하 분위기가 부품사에 대한 단가 인하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리스크다. 트렌드포스는 "자동차 업체들의 차량 가격 인하가 앞으로 MLCC 가격 경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전기차 기업의 생산 비용을 낮추려는 시도가 MLCC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열어놨다. 김원택 삼성전기 부사장은 최근 진행된 실적 설명회에서 "지난해 4분기 MLCC 출하량은 전장용만 증가했고, 올해도 전장용 수요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연기관 대비 3배 수준의 MLCC가 채용되는 전기차는 작년 보다 30% 이상 판매가 증가하고, 레벨2(부분 운전 자동화) 이상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기능을 탑재한 차량 보급도 20% 가까이 확대되는 등 자동차의 전장화 트렌드는 2023년에도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품과 공정 수준을 고도화해서 인포테인먼트, ADAS용 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용 고온, 고압품 라인업도 시장 수요에 맞춰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