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N.1 변이 늘고 중국발 입국 확진 증가…실내마스크 해제 전 '마지막 고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번주부터 유행 주도 변이 바뀔 수도
미국 유행 XBB.1.5 변이도 13건 검출
다양한 변이 유행에 장기화 가능성
중국발 단기 체류자 하루 26% 양성률
마지막 일상회복 앞두고 넘어야할 산

BN.1 변이 늘고 중국발 입국 확진 증가…실내마스크 해제 전 '마지막 고비'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PCR 검사 의무화가 재시행된 2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 코로나19 입국자 검사센터에서 중국발 입국자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영종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그간 국내 코로나19 유행을 주도했던 BA.5 변이는 줄고 BN.1 변이가 점유율을 높이며 조만간 우점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하루에만 중국발 입국 단기 체류자 4명 중 1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중국발 확진자도 증가하고 있다. 유행 변이의 변화와 중국발 유입 차단이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 전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5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주(12월25~31일) 국내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변이 바이러스는 그간 유행을 이끈 BA.5 변이었다. 그러나 BA.5의 점유율은 38.2%로 직전 주와 비교하면 7.9%포인트 줄었다. 반대로 BN.1 변이는 같은 기간 8.9%포인트 증가한 33.3%까지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이번 주 국내 우세종이 BN.1 변이로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미국에서 현재 유행 중인 XBB.1.5 변이 또한 지난달 8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 현재까지 총 13건(국내 6건, 해외유입 7건) 검출됐다. XBB.1.5 변이는 지난달 말 기준 미국 내 점유율이 40.5%로 늘었다. 미국·유럽 등에서 유행 중인 BQ.1, BQ.1.1 변이는 각각 7.0%, 5.5%의 점유율을 보였다.


BN.1 변이는 이른바 ‘켄타우로스’로 불린 BA.2.75에서 파생된 변이로, 지난해 9월22일 처음으로 국내에서 확인됐다. 4개월 만에 BA.5 변이를 넘어선다면 당분간 BN.1 변이를 중심으로 다른 변이들이 함께 유행하는 양상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방역체계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임숙영 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BN.1의 특징은 BA.2.75에 비해 면역회피능력이 다소 증가한다는 것”이라며 “이 때문에 면역을 피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겨울 재유행이 소폭 감소 추세로 돌아섰지만, 다양한 변이 유행으로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발 입국자의 잇단 확진도 긴장감을 더한다. 3일 입국한 중국발 단기 체류자 281명 중 73명(26.0%)이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정부는 2일부터 중국발 입국자 중 단기 체류자에 대해 PCR 검사를 의무화했는데, 2~3일 이틀간 누적 확진자는 590명 중 136명(23.0%)이다. 5일부터 입국 전 음성확인서 제출이 의무화되면 확진자 규모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중국에서 유행하는 변이종이 국내와 다소 다르다는 것이다. 지난주 입국한 중국 입국자에 대한 변이 분석 결과에서 BA.5는 77%, BF.7은 21.5%였다. BF.7 변이의 국내 검출률은 같은 기간 3.4%에 불과했다. 중국발 입국자 방역에 허점이 생기면 자칫 여러 변이가 동시에 유행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중국 내 코로나 유행이 국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긴장감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코로나 유행 3년 만에 사실상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화를 의미하는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가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오른 상황에서 새 변이 유행과 중국발 유입은 마지막으로 맞은 고비다. 임 단장은 “마스크 의무 조정과 관련해 발표한 판단기준은 7차 유행이 정점을 지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이에 대한 의료대응 역량이 충분하게 구비돼 있는지다”며 “중국에서의 코로나 유행 상황 등이 국내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파악해 조정시점은 그에 따라 판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