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애플, 脫중국 계획 가속화…인도·베트남 비중 키우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애플, 脫중국 계획 가속화…인도·베트남 비중 키우나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애플이 제품 생산을 중국이 아닌 인도,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로 옮길 계획을 밝히는 등 '탈(脫) 중국' 계획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최근 협력업체들에 이런 입장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또 애플은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에 대한 의존도 줄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은 최근 중국 정저우 공장에서 발생한 인력 이탈과 시위 사태 때문으로 해석된다. 폭스콘이 운영하는 정저우 공장은 아이폰의 최대 생산기지로, 아이폰 14 프로와 아이폰 14 프로 맥스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지난달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봉쇄 정책에 현지 노동자들이 강하게 반발한 것이 문제가 됐다. 코로나19 감염자가 공장에서 발생하자 불안감을 느낀 직원들이 집단 탈출해 고향으로 돌아갔고, 이후 충원된 신규 인력들도 수당 문제와 엄격한 방역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인 뒤 공장을 떠났다.


폭스콘 전 미국 담당 임원이었던 앨런 영은 WSJ에 "과거에는 한 곳에 (생산이) 집중되는 것을 신경 쓰지 않았다. 자유무역이 표준이었고 상황이 예측 가능했다"면서 "이제는 새로운 세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애플이 중국 대신 선택한 국가는 인도와 베트남이다. 애플 분석 전문가인 궈밍치 TF증권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 인도의 비율이 40~45%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인도에서 생산되는 애플 제품의 비율은 한 자릿수 대를 기록하고 있다.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또 베트남에서 에어팟, 스마트워치와 같은 애플의 다른 제품이 더 많이 생산될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이 중국을 속속 빠져나가면 중국 경제는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콘은 2019년 정저우 공장에서만 320억달러(약 41조6000억원) 상당의 제품을 수출했다. 지난해 중국 전체 수출에서 폭스콘이 차지하는 비율은 3.9%였다.



다만 인도나 베트남에서 생산보다는 단순히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의 작업을 맡는다면 중국 공장을 위협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또 인도는 규제가 중국보다 복잡하고 베트남은 인력을 한곳에 모으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생산 환경의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