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선진국 국채클럽' WGBI 가입 시동…최대 90兆 해외자금 유입, 환율 안정 효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내년 WGBI 편입 전망…글로벌 채권 펀드 투자 잣대
편입 비중 2~2.5% 예상…편입국가 중 9번째로 큰 규모
50조~90조 자금 유입 추정…발행금리 인하, 국채 이자부담 줄어

'선진국 국채클럽' WGBI 가입 시동…최대 90兆 해외자금 유입, 환율 안정 효과
AD


[아시아경제 세종=권해영 기자, 세종=손선희 기자] 이번 '세계국채지수(WGBI)' 관찰대상국 등재로 우리나라가 이르면 내년 WGBI에 공식 편입될 경우 외국인 국채 투자자금 유입 효과는 최대 9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원화채권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따른 국고채 발행금리 하락과 국가 위상 제고도 기대되는 효과다. 시장에선 이번 WGBI 관찰대상국 등재로 미국의 고강도 통화긴축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 리스크를 다소 줄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3개국 국채로 구성돼 세계 주요 채권 펀드 투자자들의 잣대 역할을 하는 WGBI에 한국 국채가 편입될 경우 예상 편입 비중은 2~2.5%로 예상된다.


WGBI 추종자금 규모가 2조5000억달러(한화 약 3583조원)란 점을 토대로 단순 계산하면 한국 국채를 추종하는 자금은 약 500억달러~625억 달러(약 72조~90조원)가 될 전망이다. 한국 국채시장에 적게는 72조원, 많게는 90조원 규모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될 것이란 뜻이다.


앞서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 2020년 한국이 WGBI 편입시 50조~60조원 규모의 외국인 국채 투자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봤다. 민간 금융회사는 더 후하다. 골드만삭스와 하이투자증권은 외국인 국채투자 유입 규모를 각각 600억달러(약 86조원), 510억달러(약 73조원)로 예상한다. 그러나 명목 국내총생산(GDP) 10대 국가 중 WGBI에 편입되지 않은 국가는 우리나라와 인도 뿐이다.


'선진국 국채클럽' WGBI 가입 시동…최대 90兆 해외자금 유입, 환율 안정 효과


우리나라 국채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선진국 국채클럽'인 WGBI 편입을 통해 외국인 투자 기반을 넓힐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정부의 국채 발행 규모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2019년 101조7000억원, 2020년 174조5000억원, 2021년 180조5000억원으로 급격히 늘었다. 외국인도 국고채 보유 비중을 2019년 16.1%, 2020년 16.7%, 2021년 19.4%까지 늘리며 투자를 확대해왔다. 실제로 말레이시아 국채의 경우 2007년 7월 WGBI 편입 직전 6개월 25억달러(약 3조5830억원), 편입 후 6개월 21억달러(약 3조100억원)의 투자금이 유입됐다. 멕시코는 2010년 10월 WGBI 편입 후 외국인의 국채 비중이 24%에서 30%대로 증가했다. 여기에 외국인 투자 유입이 늘어나면 국채 발행금리 인하에 따른 정부의 이자 부담도 연간 1조원 안팎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WGBI 편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외국인(비거주자) 또는 외국 법인이 우리나라 국채에서 지급받는 이자·양도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한다는 내용을 올해 세제 개편안에 담았다. 현재 WGBI 편입 국가가 대부분 외국인 국채 이자소득에 세금을 매기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WGBI 관찰대상국 등재로 향후 시장에 외국 중앙은행, 국부펀드 등 굉장히 안정성이 높은 자본이 들어옴으로써 국내 채권시장이 상당히 안정될 것"이라며 "당장 외국자금이 들어오는 건 아니지만 (우리 국채의) 펀더멘털을 확인하고 투자금이 유입, 환율 안정에도 상당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WGBI 관찰대상국 등재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미국의 고강도 긴축으로 외국인 자금이 이탈, 채권금리 및 원·달러 환율 급등 속에 중장기적으로 외국인 투자 확대를 견인함으로써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란 평가를 내놓는다. 다만 실질적인 금융시장 안정 효과를 기대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분석도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채권파트장은 "현재 시장에서 심리적으로 도움이 되고 변동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되지만 당장 대규모 자금이 집행되는 건 아니어서 금리가 바로 진정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