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남권역 외상센터는 왜 헬기가 착륙하지 못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정재욱 경남도의원, 예결특위서 경남권역 외상센터 늑장 개소 질타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정재욱 경남도의원은 지난 21일 경상남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종합심사장에서 경상대학교병원이 5년 전인 2017년 경남권역 외상센터로 지정받았음에도 헬리패드(헬리콥터 착륙장) 설치와 관련된 예산 부담을 경남도와 보건복지부가 서로 떠넘기면서 센터의 개소조차 하지 못해 전국 유일의 의료복지 사각지대가 됐다고 도의 조속한 해결을 따져 물었다.


답변에 나선 하병필 도 행정부지사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센터 옥상에 중량이 무거운 헬기가 착륙해야 하는 관계로 건물 보강 등의 재정 수요가 늘어나 센터 개소가 늦어지고 있다”며 사실상 예산 문제가 센터 개소의 핵심 문제임을 인정했다.


이 자리에서 정 의원은 “경남권역 외상센터의 관할 범위는 지리산과 남해 등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넓은 편이며 또한 농촌 고령인구의 이송 등이 주요한 의료 수요이기 때문에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한시라도 늦출 수 없는 매우 긴요한 상황이다”면서 “제가 진주시의원일 때 제안해 설치한 남강변 헬리패드로 현재 임시로 운영되고 있을 뿐”이라며 도가 이 문제의 심각성을 빨리 인지하고 조속히 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촉구했다.


지난 22일 현장을 찾은 정 의원은 주영태 경상대학교병원 기획조정실장 등 여러 센터 관계자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주 실장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남강변 임시 헬리패드는 내년 4월이면 점용허가가 만료된다”며 이 문제가 매우 시급한 상황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 실장은 “옥상 헬리패드 설치에 경상대병원이 177억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 현재 병원의 재정건전성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폭적인 국·도비 지원 없이는 이 문제를 풀 수 없다”며 보건복지부와 경남도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실제로 진주소방서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헬기연계 환자 이송 현황은 총 11건으로 심정지 및 중증외상이 각 4건, 낙상 외상이 2건, 코로나 확진 임산부 이송 1건 등 생명과 직결된 매우 위급한 상황들이어서 만약 이 문제가 방치한다면 지역민의 생명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 의원은 “도민의 생명과 안전은 그 어떠한 가치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라며 “예산 부족으로 센터 개소가 늦어져서 입는 피해는 도민들께서 고스란히 안게 될 뿐만 아니라 당장에 예상되는 태풍 피해 내지 가을철 낙상 사고 등의 긴급 구조상황을 생각하면 이번에는 반드시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고 했다.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