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환경부 "하수처리·정수장을 에너지 생산 시설로"…로드맵 발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환경부 "하수처리·정수장을 에너지 생산 시설로"…로드맵 발표
AD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정부가 하수처리장을 비롯한 환경시설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을 5년 안에 약 2배로 늘린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연간 180만톤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추가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21일 하수처리시설·정수장·댐 등 환경시설에서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약 1.8배, 2030년까지 약 2.7배 확대한다는 내용의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로드맵)'을 발표했다.


지난해 연간 3264GWh인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최대 5764GWh로 늘린다는 목표다. 5764GWh는 4인 가족 기준으로 연간 약 138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 규모다.


2030년까지는 최대 8762GWh로 증산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지난해 기준 연간 에너지 7625GWh를 사용하는 환경시설이 에너지를 순공급(1137GWh)하는 생산시설로 전환된다는 의미다.


현재 전국의 환경시설은 1341곳이다.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110곳, 광역 정수장 43곳, 지자체 운영 정수장 473곳, 500톤 이상 공공 하수처리시설 678곳, 댐 37곳 등이다.


환경부는 이들 환경시설의 에너지생산 설비용량 총 1.57GW를 2026년까지 이를 약 두 배인 3GW로 늘릴 계획이다. 바이오가스, 물에너지 등 두개 부문으로 재생에너지 증산 방안이 모색됐다.


바이오가스의 경우 생산량을 현재 연간 3.6억Nm3(노멀입방미터)에서 2026년까지 최대 5억Nm3, 2030년까지 최대 8.9억Nm3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026년 목표치 달성시 연간 1812억원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연간 180만톤 온실가스 추가 감축 효과가 전망됐다.


현재 110곳인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 국고를 우선 지원해 140곳까지 늘린다. 그동안 90% 이상 사료·퇴비로 처리되던 음식물류폐기물·하수찌꺼기·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을 에너지로 본격 재활용하려는 방안이다.


바이오가스의 주성분인 바이오메탄을 그린수소 생산에 활용토록 하는 계획도 세워졌다. 전주 음식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창원 하수처리시설 등 현재 2곳인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최대 5곳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물에너지는 현재 1.52GW 수준인 정수장·하수처리시설·댐 등 물관리 환경시설의 에너지 생산가능 설비용량을 2026년까지 총 2.9GW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수상태양광 등 물 환경시설 에너지 생산설비 용량은 2.9GW로 현재(1.52GW)보다 배로 늘릴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물 환경시설 발전량은 연간 4천800GWh로 현재(3천104GWh)보다 약 1천700GWh 늘어난다.



환경부 관계자는 "미래에는 모든 기반시설과 건물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탄소 발생을 줄여야 한다"라면서 "이런 미래가 현실이 되도록 로드맵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