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천시, '송도 트램' 사업화 용역 착수···2032년 개통 목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천시, '송도 트램' 사업화 용역 착수···2032년 개통 목표 송도 트램 노선도 [인천시 제공]
AD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경제자유구 송도국제도시에 친환경 교통수단인 '트램(노면전차)' 도입이 본격 추진된다.


인천시는 송도트램 도입을 위한 용역 연구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용역은 올해 1월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인천 도시철도망구축계획(변경)'에서 투자 3순위로 반영된 송도트램의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송도트램은 송도국제도시 주민의 교통편익 증진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과 연계한 도시철도 서비스 확대를 위해 친환경 고품격 트램 노선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인천1호선)∼인천대입구역∼연세대학교∼지식정보산업단지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순환하며 총연장 23.06㎞, 정거장 30개, 차량기지 1곳이 신설된다.


총사업비는 4429억원으로 이 중 2657억원은 국비로 지원받는다. 2032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송도트램 사업이 올해 하반기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포함될 수 있도록 주력하며 내년 3월 용역 연구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앞서 2019년 용역 연구에서 당시 송도트램의 '비용 대 편익(B/C)' 값은 1.14로 나타나 사업 추진 기준인 1.0을 넘었다


인천시 관계자는 "송도트램이 구축되면 송도국제도시의 정주 여건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등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 도시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는 송도트램과 함께 부평역∼연안부두 18.72㎞ 부평연안부두선, 주안역∼인천대입구역 14.73㎞ 주안송도선, 공항신도시∼영종하늘도시 10.95㎞ 영종트램, 제물포역∼연안부두 6.99㎞ 제물포연안부두선 등 5개 노선에 길이 87.79㎞의 트램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부평연안부두선의 사업화 방안 수립 용역 연구는 지난해 11월 착수, 연내 마무리를 앞두고 있다.



부평연안부두선은 경인전철 부평역~옛 미군기지 캠프마켓~인천가좌역(인천2호선)~도화 도시개발구역~연안부두 등 원도심을 잇는 18.72km의 트램으로 총사업비 3935억원을 들여 정거장 27개소와 차량기지 1개를 건설한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